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좌와 광배는 남아 있지 않지만 15세기경 보살상의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마치 모자 같은 두건(頭巾)을 쓰고 있으며, 이마에 두른 두건의 좁은 띠가 귀를 덮어 내리고 있다. 이러한 두건을 쓴 지장보살의 모습은 고려시대에 널리 유행하였던 도상적 특징으로, 현존하는 많은 고려 불화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얼굴은 비만하면서도 평판적이고, 눈 · 코 · 입 등이 얼굴 가운데로 몰려 있으며 생기가 없다. 굵게 주름진 삼도(三道)가 표현된 목은 밭아서 움츠린 듯한 느낌을 준다. 무릎 높이가 낮아져 빈약해 보이는 하체는 상체에 비하여 다소 불안정하다.
통견(通肩)의 가사와 같은 두꺼운 옷을 입고 있는 이 불상의 착의법은 어깨에서 끈으로 매듭지어진 독특한 치레 장식이 특징적이다. 고승의 영정이나 불상 · 보살상에서도 쓰이는 것이지만, 지장보살상의 착의법으로 자주 나타나는 형식이다. 몸의 굴곡이 드러나지 않는 두꺼운 옷주름 선은 규칙적으로 접혀 있어 부자연스럽다. 겉옷 안에는 수평으로 가로질러 가슴까지 올라온 군의(裙衣)를 동여맨 단정한 띠 매듭이 표현되었다.
손 모양은 오른손을 가슴 앞으로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댈 듯 굽혔고, 왼손은 가슴 아래에서 옆으로 들어 엄지와 중지를 약간 구부렸다.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두 다리는 옷에 덮여 보이지 않는다.
이 보살상은 도솔암에 봉안된 14세기의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보물, 1963년 지정)과 목걸이 장식, 밋밋한 가슴 표현 등에서 서로 닮았다. 하지만 신체 비례에 비하여 머리가 유난히 큰 점이라든가 목이 밭아 어깨가 올라가 움츠린 듯한 자세, 빈약한 하체, 간략화된 장식, 형식적인 옷주름 등은 고려 보살상의 양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조선 초기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도솔암의 금동지장보살좌상과 함께 그 예가 드문 지장보살상의 하나로, 조선시대 지장 신앙의 한 면을 보여 주는 귀중한 작품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