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 개심사 목조 여래 좌상과 목조 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괴산 개심사 목조여래좌상과 목조관음보살좌상
괴산 개심사 목조여래좌상과 목조관음보살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개심사(開心寺)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여래좌상과 목조보살좌상.
목차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개심사(開心寺)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여래좌상과 목조보살좌상.
내용

높이 목조여래좌상 85cm, 목조보살좌상 72cm. 1993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원래 괴산군 칠성면 두천리 보덕암에 있던 불상들로 약 60년 전에 보덕암이 폐사되고 개심사가 신축되면서 옮겨 왔다고 한다.

조각 수법이나 크기로 보아 원래 아미타삼존불의 본존불상과 협시보살상으로 추정되며, 또 1구의 협시보살상은 전하지 않는다. 이 목불상들은 모두 하나의 나무로 조각하였다. 신체나 옷주름의 표현이 전체적으로 경직되고 도식적인 전형적인 조선 후기의 불상들이다.

목조여래좌상은 두 손을 들어 아미타 중품하생인을 취하고 있는 상이다. 머리는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이고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의 앞부분과 정상에 계주(髻珠)가 붙어 있다.

얼굴은 복스럽고 원만하며 귀가 매우 크다. 앉은 자세는 상체가 짧고 어깨를 움츠리고 앉아 경직되어 보인다. 그리고 결가부좌한 다리 부분의 윤곽도 각이 지고 딱딱하다.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가슴 부분이 깊게 벌어지게 입어서 속에 가로질러 입은 내의가 보이며 옷주름은 두텁고 도식적이다.

목조보살좌상은 머리에 금속제의 화려한 보관(寶冠)을 쓰고 있고, 여래좌상과 반대로 왼손을 들고 오른손을 내려서 중품하생인을 취하고 있는 수인(手印) 등에서만 차이를 보인다. 신체나 대의의 표현은 여래좌상과 거의 같다. 보관에 화불의 표현은 없으나 절에서는 관음보살로 부르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춘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