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통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의 승관직(僧官職).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승관직(僧官職).
내용

각 군(郡)의 불교 교단을 지도, 감독하는 직무를 가졌다.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주통(州統) 9인과 함께 군통 18인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설치연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주통이 9인이라는 점으로 보아 9주가 완비된 신문왕 5∼6년경 이후로 볼 수 있을 듯하다. 그런데 진흥왕 때에 이미 중앙의 최고 승관직인 국통(國統)이 있었기 때문에, 주통과 함께 군통도 삼국통일 이전부터 실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군통은 18인이 복수로 존재하였다. 이들은 9주 완성에 부수된 117군에 배속되었다기보다는 지방관인 주도독(州都督) 밑에 주조(州助) 9인이 있었던 것과 같이, 각 주의 주통 1인당 2인의 군통이 배속되어 주통을 보좌해 관할군을 살피는 승관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특히, 진흥왕대 이후 영토확장에 따라 군주(軍主)에 의한 군정(軍政)에 수반해 승려도 주·군에의 불교홍통을 위해 지방민의 교화에 힘쓰게 되었으며, 그 결과 중앙의 국통에 대해 지방에는 주통·군통이 임명되어 지방 교단의 관리와 감독을 맡았다.

신라의 군통은 수나라의 승관제도, 즉 주 이하 군·현까지 포함시켜 지방의 사원을 감독하는 승관으로서 군통이 있었다는 사실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듯하다.

이러한 군통은 879년(헌강왕 5) 당시의 사실로,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문(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文) 가운데에서 남천군통(南川郡統) 훈필(訓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어, 신라 말기까지도 군통이라는 승관직이 존속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금석전문』(허흥식 편, 1984)
「신라 승관제와 지방지배」(강봉룡, 『전남사학』11, 1997)
「신라 승관제에 관한 재검토」(박남수, 『가산학보』4, 1995)
「신라 승관제 이해를 위한 시론」(채상식, 『한국문화연구』6, 1993)
「신라 승관제의 성립과 기능」(이수훈, 『부대사학』14, 1990)
「신라승관제의 설치의의」(채인환, 『불교학보』19, 1982)
「신라승관제와 불교정책의 제문제」(이홍직, 『백성욱박사송수기념불교학논문집』, 195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