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당사 괘불탱 ( ▽)

목차
관련 정보
진안 금당사 괘불탱
진안 금당사 괘불탱
회화
유물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금당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금당사 괘불탱(金塘寺 掛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7년 08월 08일 지정)
소재지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남로 217 (마령면, 금당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금당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
개설

199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692년(숙종 18)에 명원(明遠), 허헌(虛軒) 등 4명의 화원 비구(畵員比丘)가 제작했다. 원형 두광(頭光: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에 거신광배(擧身光背)를 지닌 본존불은 좌향한 연꽃가지를 들고 있는 독존 형식의 보관불이다.

내용

머리에 7면의 얼굴들 좌우로 봉황이 장식된 보관(寶冠)을 쓴 보관불의 둥근 얼굴에는 긴 눈과 작은 입이 묘사되었다. 그리고 좁은 어깨의 신체는 세장(細長)한 편으로 안정감이 있다. 거신광배 안에는 꽃무늬마다 범자(梵字)를 새긴 장식적인 광배(光背: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로 화려하다. 광배의 바깥, 좌우로 열 구씩 등장한 총 이십 구의 화불(化佛)은 충청남도 무량사 미륵불괘불탱(1627년 작) 및 개심사 영산회괘불탱(1772년 작)과 연결된다.

보관불의 가슴을 가린 내의(內衣) 위로는 띠가 왼쪽 어깨를 지나 오른쪽 겨드랑이로 비스듬히 지나간다. 이 띠는 가슴 아래에서 묶어져 흘러내렸다. 어깨를 덮는 천의(天衣: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 자락은 복부(腹部)에서 두 번 유(U)자형을 이루며 팔 위로 늘어지고, 허리띠는 매듭지어져 무릎 사이로 흘러내렸다.

보관과 목걸이, 치마인 상의(裳衣)는 영락(瓔珞: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과 꽃무늬, 다양한 수식(垂飾: 드리개) 등으로 매우 화려하다. 주조색인 적색과 녹색을 중심으로 하늘색, 황색, 흰색, 분홍색, 금채(金彩)가 돋보이며 이들은 화사한 문양과 함께 밝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나타낸다.

7면의 얼굴이 새겨진 보관, 수인(手印), 연꽃모양의 지물(持物), 착의법(着衣法), 광배, 무수한 화불의 배치 등은 무량사 미륵불괘불탱(1627년)과 비슷하다. 이와같이 연화수 지물을 든 단독 형식의 보관불은 율곡사(1684년), 적천사(1695년), 수도사(1704년), 청량사(1725년), 법주사(1766년), 통도사(두점: 1767년, 1792년), 쌍계사 괘불탱(1799년) 등 18세기에 다수 제작되었다. 이는 주로 충청도 지방을 중심으로 17세기에 유행한 군도 형식의 보관불에서 발전된 것으로, 이들의 존명(尊名)은 미륵불, 보신 노사나불, 화신 석가불 등 다양하다.

화기(畵記)에 바탕(波湯), 복장(腹藏), 초지(草紙), 후배지(後排紙), 주홍(朱紅), 하엽(荷葉), 오색사(五色絲), 아교(阿膠), 말장(末醬), 원경(圓鏡) 등 괘불탱 제작에 필요한 물품을 시주한 명단이 자세하게 명시되어 있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96-97 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8)
『괘불조사보고서』I (국립문화재연구소, 199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