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묘제현수첩 ()

목차
관련 정보
기묘제현수첩
기묘제현수첩
서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 기묘제현들의 서간(書簡)을 모은 서첩.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기묘제현수첩(己卯諸賢手帖)
분류
기록유산/서간류/시고류/시고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4년 05월 02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 기묘제현들의 서간(書簡)을 모은 서첩.
내용

199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첩은 순흥안씨 사재(思齋) 안처순(安處順)이 동료에게서 받은 서간을 모은 것인데, 대부분 기묘사화에 관련된 인물이다.

수첩은 1517년부터 1531년 사이에 작성된 것으로, 모두 12명의 서간 37통을 비롯하여 한준겸(韓浚謙)의 지문(識文) 및 조성교(趙性敎)의 발문이 70면에 실려있다. 장옥(張玉), 조광조(趙光祖), 성수완(成守琓), 남주(南趎)는 1통씩, 정응(鄭譍), 한충(韓忠), 유용근(柳庸謹)은 2통씩, 이정경(李廷慶)은 3통, 박상(朴祥), 김구(金絿)는 4통씩, 김정(金淨)은 5통, 최산두(崔山斗)는 11통이다.

수첩 앞쪽에는 한준겸(韓浚謙)의 지문(識文)이 있고 뒤쪽에는 조광조의 11대손 조성교(趙性敎)가 쓴 1875년의 발문이 있다. 조성교의 발문에 의하면, 자신이 도순찰사(都巡察使)로 이곳에 부임하여 이 서첩을 열람하고 전라감영에서 수리했다는 등의 경위가 적혀있다.

이 서간첩은 기묘사화와 관련된 당대 명현들의 필적이 모여있어 사화(士禍)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구례 현감으로 부임하는 안처순에게 친우들이 지어준 송별시를 모은 「기묘제현수필」과 함께 중종연간의 정치사 및 서예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94 지정문화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95)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