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호조참판, 대사헌,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회이(晦而)
매곡(梅谷)
시호
효헌(孝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6년(숙종 2)
사망 연도
1750년(영조 26)
본관
강릉(江陵)
주요 관직
정언|영광군수|수찬|교리|장악원정|춘천부사|비변사제조|호조참판|대사헌|판돈녕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호조참판, 대사헌,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회이(晦而), 호는 매곡(梅谷). 김선여(金善餘)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득원(金得元)이고, 아버지는 제용감봉사(濟用監奉事) 김홍주(金弘柱)이며, 어머니는 주서(注書) 남궁배(南宮培)의 딸이다. 아들이 영의정 김상철(金尙喆)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08년(숙종 34)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 1710년 시강원설서(侍講院說書)를 시작으로 정언(正言)·병조좌랑·지평·충청도사·고산찰방(高山察訪) 등을 거쳐, 영광군수(靈光郡守)로 나가서 큰 치적을 올렸다. 특히, 삼남지방 양전(量田: 토지 조사)의 부세를 배로 올려 국가에 이익이 되게 하였다.

1722년(경종 2)에 수찬(修撰)·교리(校理)를 거쳐 헌납(獻納)·사간·집의(執義)·필선(弼善)·보덕(輔德)·장악원정(掌樂院正)을 지냈다. 이 때 호서 지방의 안찰사(按察使)로 나가 사정을 살핀 뒤 군역(軍役)의 변통을 주장하면서, 당시 시행 중이던 군포감반지법(軍布減半之法: 군포의 부담을 절반으로 줄인 조치.)은 각 읍의 잡역미(雜役米)로써 충당한 후라야 가능하다고 상주하였다.

그 뒤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24년(경종 4)에 수원부사로 나갔다가 영조 즉위 후 물러났으나 1727년(영조 3) 정미환국 이후 다시 기용되어 황해도관찰사로 나갔다. 1729년에 호조참의를 거쳐 대사간·동부승지·춘천부사를 지냈다.

1734년 함경도관찰사를 지낸 뒤 다시 대사간과 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의 참의를 거쳐 호조참판 겸 부총관(戶曹參判兼副摠管) 및 비변사제조(備邊司提調)로 승진해 명사변무(明史辨誣)를 위해 다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한성부의 좌윤·우윤과 호조참판 겸 전설사제조(戶曹參判兼典說司提調)를 지냈다.

1741년 강화유수로 부임해 청나라에서 견문한 벽돌 굽는 법을 도입해 강화외성(江華外城)을 쌓는 데 공을 세웠다. 1744년에는 한성부판윤 겸 지의금부사(漢城府判尹兼知義禁府事)와 평시서제조(平市署提調)를 거친 뒤 대사헌이 되었고, 1745년 기로사(耆老社)에 들어갔다.

그 뒤에도 공조판서·대사헌·의정부좌참찬·지중추부사 겸 빙고제조(知中樞府事兼氷庫提調) 등과 숭정대부(崇政大夫)로 품계가 올라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까지 제수되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가오고략(嘉梧藁略)』
집필자
박정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