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배 높이 176㎝, 불상 높이 130㎝. 1974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방위는 남향이며 석불 주위의 밭에는 기와편이 흩어져 있다.
불신(佛身)과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가 한 돌로 조각된 여래입상으로 불상은 독립상에 가까울 정도의 고부조(高浮彫 : 높은 돋을새김)이다. 하지만 마멸이 심해 세부 특징이 불분명하다.
계란형의 얼굴은 완전히 마멸되어 세부 특징이 불분명하다. 머리는 민머리에 펑퍼짐한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솟아 있다. 좁은 목에는 삼도(三道)가 희미하다.
신체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의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에 싸여 몸의 굴곡이 드러나는 원통형적인 구조이다. 법의의 끝자락은 커튼 형태로 마무리되었고, 옷주름은 동심원을 포갠 듯 도식적이다.
양손은 오른손을 위로, 왼손을 아래로 하여 복부에 모아 설법인을 맺었다. 신체에 비해 지나치게 큰 광배는 단정한 댓잎[竹葉] 형태이다. 앞면 정상부가 앞쪽으로 살짝 굽어졌고, 뒷면은 만곡면(彎曲面 : 활 모양으로 굽은 면)을 이룬다.
광배 내부는 두 줄 선으로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의 띠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그 내구에는 꽃무늬와 식물 무늬를, 바깥에는 물결형의 불꽃무늬를 새겼다. 머리 광배 정상에는 도안화된 별 모양의 4잎 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 석불에서 특이한 점은 따로 조각된 팔각형 대좌 윗면에 불상의 발을 돋을새김한 수법이다. 이처럼 대좌 윗면에 불상의 발을 따로 조각하는 수법은 나말여초 석불들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아동의 신체와 같은 단구형(短軀形)의 신체 비례, 동심원 형태로 도식화된 옷주름 등에서 볼 때, 삼국시대 불상의 조형적 요소를 모방한 나말여초기 불상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