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활자본. 1911년 저자의 아들 학길(鶴吉)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현문(李鉉汶)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장승택(張升澤)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38수, 만사 36수, 서(書) 50편, 서(序) 3편, 기 3편, 발 3편, 제문 5편, 묘표 3편, 광기(壙記) 1편, 행장 4편, 유사 1편, 권3은 잡저 2편, 권4는 부록으로 만사 16편, 제문 2편, 가장 1편, 묘갈명 1편, 남애서실기(南厓書室記) 1편, 용학망의서(庸學妄議序) 1편, 소학췌언서(小學贅言序)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학망의」는 『중용』·『대학』 전체에 걸쳐 대의(大義)보다는 주로 장구(章句) 해석과 관련된 내용으로서, 잘못 보기 쉬운 부분을 낱낱이 골라내어 문제를 달고 그것에 대한 선유의 학설에 저자 나름대로의 해석을 붙였다.
「소학췌언」 또한 제사(題辭)에서부터 통편에 걸쳐 장구해석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나, 위의 내용과 다른 점은 주로 스승인 허전(許傳)의 학설이 많이 인용되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