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촌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남촌문집
남촌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송이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1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송이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3책. 목활자본. 1921년 저자의 5대손 필린(必璘)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영남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동아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4수, 서(書) 37편, 권2에 서(書) 12편, 잡저 4편, 서(序) 2편, 기 3편, 발 8편, 권3·4에 축문 10편, 뇌(誄) 5편, 상량문 3편, 묘지 1편, 권5에 행장 7편, 권6에 묘갈명 9편, 권7은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묘지 각 1편, 서원봉안문 및 상향축문 등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의 「면종신방(綿種新方)」은 효험이 기이한 민간요법을 소개한 것이다. 대표적인 처방으로 그는 목화씨 한 움큼을 볶아 술 한 주발에 타서 달인 다음 이를 복용하면 감기는 물론 웬만한 열병에도 직효가 있음을 소개하고 있다. 이 처방은 기축년에 안동 하회마을 유성룡(柳成龍) 구택에 불이 났을 때 숱한 문적들이 소실 당한 중에 우연히 얻은 유성룡의 친필 고지(故紙)에 쓰여 있던 비방으로, 마침 이무렵 안동 인근에 역병이 크게 번졌는데 이 방법을 써서 큰 덕을 보았다는 사실까지 자세하게 적어놓은 것이다.

기 중에서 「매남환택기(梅南還宅記)」는 자신이 한때 처분하였던 옛집과 전답을 일가들이 서로 주선해 마침내 옛 종가집을 되찾게 되었던 그간의 사정과 함께 일가들이 베푼 후의와 족친 간의 화목 등 아름다운 사연을 적은 것이다.

「서무흘서각초록후(書武屹書閣抄錄後)」는 그가 80세의 고령이던 1777년(정조 1) 수도산(修道山) 아래 정구(鄭逑)의 장서를 모아둔 무흘정사의 장서각에 머물면서 정구의 여러 수택서(手澤書) 중 아름답고 긴요한 대목들을 뽑아 『무흘서각초록』 2권을 만들었던 전후 사실과 함께 정구의 알려지지 않았던 행적을 비롯해 무흘정사의 연혁까지 살필 수 있게 한 글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상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