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에 유존되어 오던 석상이다.
충청남도 연기군 일대에서 출토된 불비상(佛碑像)과 같은 계열의 양식에 속한다. 깊은 돋을새김[高浮彫]으로 표현된 본존불좌상은 얼굴이 마멸되었으나 머리카락을 표현하지 않은 소발(素髮)이며, 상체는 당당하면서도 중후한 인상을 풍긴다. 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여원인(與願印)의 통인(通印)으로, 시무외인의 오른손은 엄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구부려 밖으로 향하였다.
대의는 양어깨를 감싼 통견(通肩)으로, 가사 자락은 가슴을 가로질러 왼 팔목을 감싸고 드리워졌으며, 가슴 사이로 고리형의 띠 매듭이 표현되었다. 대의의 굵직한 U자형 옷주름으로 인하여 신체의 건장함이 강조되었으나 하체는 빈약한 편이다. 두광은 끝이 각진 연꽃과 연속된 꽃무늬로 묘사되었다.
얕게 부조된 협시보살상은 바깥쪽으로 몸을 틀고 허리를 약간 굽혀 엉거주춤하게 선 모습이지만, 초보적인 삼곡(三曲)자세가 엿보인다. 천의 자락은 무릎 근처에서 X자형에 가깝게 교차되고, 그 위로 한 줄의 영락 장식이 드리워져 있다. 양손은 가슴까지 올렸으며 본존 쪽의 손은 꽃을 담은 쟁반을 들고 있다.
하의에 표현된 촘촘한 세로 옷주름은 연기 지방 불비상에 공통적인 옷주름 형식이다. 보살상의 머리 위에는 화불(化佛)과 굵은 불꽃무늬를 새겨 거신광(擧身光)으로 삼았다. 뒷면은 조각되지 않았으나 하단부를 도드라지게 하여 대석을 모각하였다.
삼존은 각각 앙련(仰蓮: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과 복련(覆蓮: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맞붙은 이중의 독립된 대좌를 갖추었다.
이 불비상은 연기 지방 불비상과 같은 양식 계열에 속하지만, 본존불의 양감 있는 표현과 보살상의 초보적인 삼곡자세 등에서 조금 진전된 양식적 특징을 보여 준다. 제작 시기는 7세기 말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