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630년(인조 8) 저자의 문인인 공주목사 허수(許洙)가 편집하고, 그 뒤 외증손 조성(趙䃏)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상에 장시(長詩) 7수, 가(歌) 1편, 권하에 시 105수, 잡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차천로(車天輅)에게 준 「오산가(五山歌)」는 29구(句)를 모두 ‘차(車)’자 운을 써서 그의 시재를 찬양한 시로서 애송되었던 것이라고 하며, 「이적행(二賊行)」은 여자와 술을 두 적으로 비유하여 읊은 시로, 고래로 주색에 얽힌 인물과 고사를 흥미진진하게 엮어놓았다.
「두견행(杜鵑行)」은 10세 때 지은 것으로 촉천자(蜀天子)의 애절한 신세를 한탄한 내용인데, 그의 시재가 유감없이 발휘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밖에 「두자미(杜子美)」·「굴원(屈原)」·「어초정이십운(漁樵亭二十韻)」·「석성이가읍별서십사운(石城李可挹別墅十四韻)」 등은 모두 걸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