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문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녹문집
녹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임성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5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임성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5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26권 13책. 목판본. 동생 정주(靖周)가 7년 동안 남은 저술을 수집하여 1795년(정조 19)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민보(李敏輔)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종질 육(焴)의 발문이 있다.

내용

권1∼11에 서(書) 340편, 권12∼20에 잡저 26편, 서(序) 4편, 기 4편, 권21에 제발(題跋) 15편, 논 4편, 설 10편, 권22에 명 7편, 잠 3편, 찬(讚) 1편, 축문 5편, 제문 10편, 권23·24에 제문 14편, 애사 1편, 묘지명 18편, 표(表) 1편, 갈(碣) 1편, 권25에 행장 3편, 유사 2편, 공이(公移) 17편, 권26에 시 85수가 실려 있다.

서(書)는 저자의 스승인 이재(李縡)를 비롯하여 윤봉구(尹鳳九)·김원행(金元行)·송명흠(宋明欽)·이민보 등 당시의 석학들과 주로 경전 또는 심성(心性)·이기(理氣)에 관해 주고받은 문답이 대부분이다.

잡저는 경의(經義)를 밝힌 것으로, 권12에 ≪심경≫·≪소학≫, 권13에 ≪논어≫·≪중용≫, 권14에 ≪의례≫·≪주역≫, 권15에 ≪상서≫, 권16에 ≪대학≫ 순으로 경문(經文)·주해(注解)에 관계없이 전편에 걸쳐 의심되거나 난해한 부분에 대해 조목조목 해설을 붙였는데, 거기에는 역대 중국과 우리나라 선현들의 학설이 인용되고 있다.

그 밖에 1750년(영조 26) 익위사세마(翊衛司洗馬)로서 이듬해의 춘방강의(春坊講義) 내용을 적은 <서연강의 書筵講義>를 비롯해 송익흠(宋益欽) 등과 ≪대학≫ 1편을 전체적으로 다룬 <옥류강록 玉溜講錄>, 심성이기에 관한 저술인 <녹려잡지 鹿廬雜識> 등도 경전·성리의 학설이다.

심지어 80여 수의 시 가운데 절반 이상이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는데, 김원행과 차운한 <신기음 神氣吟>·<심성잡영 心性雜詠> 36수 등이 대표적이다.

숙종연간의 후반기에 학계가 심성론을 둘러싸고 인물성구동론(人物性俱同論)·성범심동설(聖凡心同說)을 주장한 낙론(洛論)과 그 반대 입장을 취한 호론(湖論)으로 나뉘어 이른바 호락논쟁이 있을 때, 저자는 스승 이재의 영향을 받아 처음 낙론에 속하였다가 호론 쪽으로 기울어져 기를 주장하였다.

그의 이러한 사상과 논리가 이 책의 <녹려잡지>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우주에 충만하여 모든 조화를 일으키고 허다한 사물을 생성하는 것이 하나의 기일 뿐, 이(理)는 끼어들 틈이 없다고 하면서, 다만 그 기운이 그렇게 충만할 수 있고, 작용할 수 있는 원인은 자연일 수밖에 없는데, 자연 그것을 성인이 명명하여 도(道) 혹은 이(理)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그 한 예로 맹자(孟子)가 성선설을 주장하면서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거론한 것을 들어 성선 자체가 바로 기질이 선하다는 것이요, 기질 이외에 별도로 또 다른 선한 성품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또 이이(李珥)의 기발이승(氣發理乘)·이통기국(理通氣局)을 들어 이이를 주희(朱熹) 이후 초유의 선각자로 주장하였으나, 이이의 논설에서 기와 이 두 가지로 보는 투명하지 못한 곳이 있음을 애석하게 여기고, 그 당시에 자기와 같은 논리를 전개하는 자가 있었더라면 그는 확실히 깨쳤을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을 하였다.

이러한 주기론 내지 일원적 차원을 강조한 원기론(元氣論)은 그 뒤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을 확립함으로써, 유리적(唯理的) 입장에서 호락양론을 지양한 기정진(奇正鎭)과 더불어 저자를 조선시대 성리학계의 6대가 중의 한 사람으로 두각을 나타내게 할 수 있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조선유학사』(현상윤, 민중서관, 1949)
『한국유학사』(배종호, 연세대학교출판부, 1974)
『한국철학연구』 하(한국철학회 편, 동명사, 1978)
『한국유학의 과제와 전개』 Ⅰ(배종호, 범학도서, 1980)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배종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