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죽렴장 ()

목차
관련 정보
담양 죽렴장 / 박성춘
담양 죽렴장 / 박성춘
공예
개념
갈대 또는 가늘게 쪼갠 대나무를 실로 엮어서 발을 만드는 기술 또는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
목차
정의
갈대 또는 가늘게 쪼갠 대나무를 실로 엮어서 발을 만드는 기술 또는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
내용

1963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발의 종류에는 ① 조렴하지 않은 대를 그대로 사용하는 쪽발 ② 들깨기름과 활달을 배합해 발살에 물을 들여 엮어 윤기가 많은 가마발 ③ 대의 겉부분을 발살로 한 겉세렴(죽피렴) ④ 속세렴(내죽렴) ⑤ 거북 등모양 6각 무늬(귀갑문)을 배열하는 보통귀문렴 ⑥ 보통조각렴 ⑦ 장조각렴 ⑧ 족자발 ⑨ 김발 ⑩ 붓발 ⑪ 병풍발 등이 있다.

대발은 보통 2∼3년생 분죽과 왕죽을 이용하는데 왕죽은 일하기 쉬우며 때깔이 좋다고 한다. 채취는 물기가 빠지는 10월 중순∼1월 중순에 하는 것이 좋다. 이들을 엮는데 명주실, 무명실이 필요하며 고들개(고름돌) 발걸이 등도 있어야 한다. 공구로는 큰칼, 작은칼, 대통, 조렴(조름)띠, 조렴돌, 발목틀, 집게, 줄, 가위, 발틀 등이다.

공정은 채취한 2∼3년생 대를 저장하여 순색이 되도록 음지에서 말린 뒤 절단, 쪽살내기, 마디훑음질, 잔살내기, 조름질, 엮음질의 순서로 제작한다. 특히 중요한 공정은 조름질(조렴질)인데 가늘게 쪼갠 발살을 조름쇠 구멍을 통과시켜 가늘고 둥글게 만든다. 한쪽을 집게로 잡아 조름질을 하는데 조름쇠에 여러 가지 크기의 구멍이 있어 용도에 따라 골라 사용한다.

3회 조름질한 견(세벌조름)이 제일 가늘며, 가늘수록 상품에 사용된다. 죽렴의 원래 제작지는 담양 대덕면 용산리였다고 하며 김병권(1857∼1900년), 창평면 장화리의 이달수(1891∼1961년), 광덕리의 조병권, 오철수, 봉산면 주곡리 송산마을의 김두옥(1905∼1982년)박상언(1917∼1987년, 박성춘의 부) 등이 유명했다고 한다.

기능보유자 박성춘의 선대는 남원에서 살았고 고조 채례(1819∼1844년) 때에 창평 삼천리로 입촌한 뒤 다시 조부 백현(1880∼1918년)대에 1920년께 송산에 정착하였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허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