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곡사 범종각 ( )

목차
관련 정보
대곡사 범종각
대곡사 범종각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중창된 종각. 사찰건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대곡사범종각(大谷寺梵鐘閣)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각루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2년 08월 04일 지정)
소재지
경북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길 80 (봉정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중창된 종각. 사찰건물.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겹처마 팔작지붕의 중층 누각건물. 198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사역(寺域) 일직선축의 대웅전보다 한 단 아래 위치한 범종루는 고려 공민왕 17년(1368)에 창건 된 후 정유재란 때 소실되어 1605년(선조 38) 대웅전과 함께 중창되었고, 1687년(숙종 13) 태전선사(太顚禪師)가 다시 중창 하였다고 전해진다.

종각은 막돌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누하주를 세우고 멍에를 끼워 상부의 우물마루를 받았다. 공포는 외2출목, 내3출목으로 꾸몄으며 외부제공은 앙서형으로 되었으나 그 윗몸에 연꽃을 조각하였고, 내부 제공은 한몸으로 연결하여 초각하였는데 이는 대웅전의 조각수법과 비슷하다.

좁은 협칸에는 주간포를 1기 설치한 반면, 넓은 정칸에는 주간포를 놓지 않고 만개한 연화문양으로 초각한 화반(花盤: 주심도리 밑 장여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을 둔 특징이 있다. 또 공포는 외2출목이지만 귀포에서만은 3출목으로 짧은 외목도리를 하나 더 돌출시킨 것도 독특한 방법이다.

계자(鷄子) 난간을 두른 누각에는 법고(法鼓) · 운판(雲版) · 목어(木魚)를 설치하였으며, 범종은 용문사로 가져갔다고 전해진다.가구는 5량인데 방형의 대들보 위에 원형의 덧보를 포개어 두 개의 부재를 합쳐서 대들보를 만든 특징이 있다. 천장은 중앙에만 우물천장을 설치하고, 그 외 사방에는 빗천장을 꾸몄다.

외부에 돌출된 쇠서[牛舌]의 형상으로 보아서는 대웅전보다 시대가 다소 떨어지는 듯하지만 우물천장을 구성한 가구수법이 주목된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사찰전서』(불교시대사, 1996)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慶尙北道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경상북도, 198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일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