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유나 ()

목차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신라의 중앙 승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중앙 승관직.
내용

신라의 중앙 승관은 진흥왕 때에 국통(國統) 1인-도유나랑(都唯那娘) 1인-대도유나(大都唯那) 1인-대서성(大書省) 1인의 체계였다. 그 뒤 진덕여왕 때에 대도유나와 대서성의 정원을 각각 1인씩 늘렸다. 그리고 788년(원성왕 3) 소년서성(少年書省)에 2인의 정원을 두면서 정비되었다.

대도유나는 대통-도유나로 이어지는 중국 북제(北齊)의 승관체계를 받아들인 것이다. 신라 551(진흥왕 12)년 고구려에서 온 혜량법사(惠亮法師)를 국통으로 삼으면서 보량법사(寶良法師)를 이에 임명하였다.

그리고 785년(원성왕 1) 승관제를 ‘정법전(政法典)-중앙승관-지방승관’의 체계로 다시 정비했으나, 대도유나는 중앙승관직으로서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9세기 후반에 새로이 대통(大統)이란 이름으로 바뀌었다.

872년(경문왕 12) 작성된 <황룡사9층목탑찰주본기 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를 보면, 황룡사 자체에 ‘대유나(大維那)-도유나(都唯那)-유나(維那)’의 체계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유나는 대도유나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9세기 후반 무렵에 종래 중앙 승관직의 명칭이었던 대도유나가 각 사찰에도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 결과 대도유나란 이름으로는 각 사찰의 직임과 중앙 승관직과의 구분이 어려웠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 승관직인 대도유나의 명칭을 대통으로 바꾸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대도유나가 대통이란 명칭으로 바뀌게 되면서, 대도유나는 각 사찰의 삼강직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신라승관제와 불교정책의 제문제」(이홍직, 『백성욱박사송수기념 불교학논문집』, 1959)
「신라 승관제에 관한 재검토」(박남수, 『가산학보』 4, 1995:『신라수공업사』, 신서원, 1996)
「日本における佛敎統制機關の確立過程」(井上光貞, 『日本古代國家の硏究』, 1965)
「新羅における佛敎統制機關について」-特にその初期に關して(中井眞孝, 『朝鮮學報』59,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