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촌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종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종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20권 7책. 석인본.

편찬/발간 경위

1939년 아들 경수(慶洙)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최원식(崔元植)의 서문과 권말에 경수의 발문이 있다.

내용

권1∼7에 시 987수, 권8에 기 35편, 권9에 서(序) 25편, 권10에 설 9편, 서(書) 8편, 권11에 발 3편, 전 1편, 잠 3편, 명 14편, 찬(讚) 8편, 권12에 제문 23편, 권13∼15에 서(書) 81편, 권16에 청사(靑詞) 2편, 만사 1편, 전문 2편, 표 18편, 권17·18에 논 29편, 유장(儒狀) 9편, 권19에 비명 2편, 행장 3편, 권20에 잡저 10편이 실려 있고, 부록은 유사와 가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은 주로 이기에 대한 논술로 <이기문답설 理氣問答說>에서 이는 형이상학적인 도(道)이고 기는 형이하학적인 기(器)이며, 이는 위에서 기를 타고 기는 아래에서 이를 실으니, 서로가 두 가지의 것이 아니면서도 섞이지 않고 한 가지의 것이 아니면서도 떨어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인심도심설 人心道心說>에서는 인심과 도심의 구분이 있는 것은 이기의 구분, 공사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논(論)은 대부분 경전에 나타난 고사에 대한 견해를 밝힌 것으로, 특히 <군산추야독병서론 君山秋夜讀兵書論>에서는 국가가 미리 준비하는 것은 사람이 어려울 때를 대비해 사전에 대책을 세우는 것과 같다고 주장하면서, 세상이 태평할 때 무예를 닦아 난세에 대비할 줄 알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황의돈효행록 黃義敦孝行錄>에서는 사학자인 황의돈의 효행을 칭찬해 뒤에 본보기가 되기를 바라면서 효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답황의돈서 答黃義敦書>에서는 학문을 연구함에 있어 편협됨이 없이 유학·불교를 비롯한 동양학문은 물론, 서양학문도 두루 섭렵해 폭넓은 견식을 갖출 것을 당부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책에 수록된 몇몇 글들은 한말의 학문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집필자
김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