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림사 괘불 ( )

목차
관련 정보
곡성 도림사 괘불탱
곡성 도림사 괘불탱
회화
작품
문화재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월봉리 도림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
목차
정의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월봉리 도림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
내용

1683년(숙종 9)작. 삼베바탕에 채색. 세로 7.76m, 가로 7.19m. 1985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계오(戒悟)·삼안(三眼)·신균(信均)의 세 화원(畵員) 비구(比丘)가 그렸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손모양을 한 석가불좌상의 좌·우로 연꽃을 든 두 보살이 시립한 석가삼존도형식이다. 문수보살은 보관(寶冠)에 화불(化佛)을 모시고 있다. 키모양 광배를 지닌 석가불은 오른팔이 가늘며, 여윈듯 창백한 얼굴에 눈이 올라간 표정이 특징적이다. 두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의 큼직한 법의(法衣)는 묵직하다. 상투와 같은 육계(肉髻)의 머리모양을 한 석가불의 상체는 방형으로, 결가부좌한 하체의 무릎너비가 넓어 안정감이 있다. 보살은 하체에 비해 넓은 어깨, 가는 팔, 큰 손에서 과장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형식적인 상현좌(裳懸座) 및 낮은 대좌(臺座)에 묘사된 사각형의 연속 문양이 단조로운 반면 금니(金泥)을 대신한 황색 필선의 옷문양은 화려하다. 주홍색과 녹색을 주조색으로, 분홍색, 하늘색, 흰색 등의 가볍고 부드러운 파스텔톤의 세련된 배색 효과는 흰 피부와 어울려 신비하다.

화기(畵記)에 괘불탱 조성에 사용된 포시주(布施主), 주불(主佛)·좌우보처대시주, 주홍·진채(眞彩)·하엽(荷葉)·황란(黃丹) 등의 안료시주를 강조했으며, 말장(末醬)·식염(食鹽), 쌀인 제미(齊米)·채소와 콩인 여숙(茹菽) 등의 공양시주자가 기록되어있다.

후에 보수된 듯 거칠게 덧칠한 부분도 있는 이 괘불탱은 자료가 귀한 석가삼존불형식이다. 권속이 줄어 든 화면 구성과 뛰어난 배색 효과, 독특한 문양 표현이 돋보이는 이 괘불탱은 당대의 대표작으로 손꼽을 만하다.

참고문헌

「곡성 도림사 괘불정화 -괘불정화연구-」(문명대, 『한국미술사논문집』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마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