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화사 마애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정면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정면
조각
유적
문화재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마애불. 보물.
이칭
이칭
동화사입구마애불좌상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대구 동구 팔공산로201길 41, 동화사 (도학동)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마애불. 보물.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추고 있는 이 마애불은 조각 수법이 부드러우면서도 섬세하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내용

머리와 상체는 도드라지게 새겼으나 대좌와 광배는 얕게 부각되어 있다. 소발(素髮)의 머리 위에 육계(肉髻)는 표현되지 않았다. 턱을 군살 지게 표현하여 얼굴은 비만하나 이목구비가 단정하여 중후한 인상을 풍긴다. 형식적으로 새긴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며 어깨는 반듯하다. 그러나 신체에는 힘이 빠져서 8세기 불상에 보이던 생동감은 감소되었다.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U자형으로 넓게 트인 가슴 사이로 군의(裙衣)의 띠 매듭이 노출되어 있다. 옷주름은 좁은 간격의 평형으로 밀집한 옷자락 무늬로서, 이러한 옷주름과 불의(佛衣) 형식은 9세기 불상에 흔히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오른손은 무릎 아래로 내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맺고 왼손은 결가부좌한 무릎 위에 올려놓았다.

앉은 자세는 유희좌(遊戱坐)를 표현한 듯 오른쪽 다리를 대좌 위에 올려놓았는데,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보물, 1963년 지정)과 비슷한 모습이다. 광배는 두 줄의 선으로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을 구분하였으며, 그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를 새겨넣었다.

대좌의 상면에는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과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맞붙은 이중의 화려한 연꽃이 불상을 감싸듯이 표현하여 입체감을 의도하였다. 팔각의 중대석(中臺石)에는 각 면에 두 개의 모서리 기둥과 큼직한 안상(眼象)을 새겼는데 아래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진다. 이러한 표현 방법은 올려다볼 때의 시각적 효과를 고려한 수법으로 보인다. 대좌는 왼쪽으로 비껴 날고 있는 구름 위에 둥실 떠 있으며, 구름무늬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불상 전체에 생동감을 불어넣고 있다.

이 마애불은 전반적으로 부드러우면서도 섬세한 수법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비만한 얼굴과 위축된 체구, 느슨한 윤곽선 그리고 장식성이 강한 대좌와 광배의 표현 등에서 생동감이 감소되어 있어, 제작 시기는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5 보물3(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국보』2 금동불·마애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4)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한국의 불상』(진홍섭, 일지사, 1976)
집필자
곽동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