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진기방 ()

목차
관련 정보
마진기방
마진기방
의약학
문헌
조선후기 의학자 이헌길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두진(痘疹)의 치료법을 서술하여 1759년에 간행한 의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의학자 이헌길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두진(痘疹)의 치료법을 서술하여 1759년에 간행한 의서.
내용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 및 한독의약박물관에 있다.

내용은 운기총론(運氣總論)·인증편(因證篇)·변사편(辨似篇)으로 구분되어 있다. 운기총론에는 독원(毒源)·치법(治法)·시령(時令)·약계(藥戒)·맥도(脈度)·일기(日期)·초열(初熱)·출진(出疹)·출험(出險)·열후(熱候)·여독(餘毒)·부인금기(婦人禁忌)가 있다.

인증편에는 한(汗)·식(食)·해수(咳嗽)·인후(咽喉)·토사(吐瀉)·복통·번조(煩燥)·섬어(譫語)·광경(狂驚)·대소변·설사·이질(痢疾)·창옹(瘡癰)·종창·회충·잡증(雜症) 등이 실려 있다. 변사편은 약론(藥論)·주반(酒泮)·분치(糞治)·잡설(雜說)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병증세와 약방문(藥方文)이 쓰여져 있다.

이 책의 발문에 “처음 상경하였을 때는 단복(單服)을 입었기 때문에 시술(施術)하지 못하고 귀향하려고 하였는데, 교외로 나오자 두진으로 사망한 시체를 메고 가는 사람이 잠시 동안 백이나 되었다. 그것을 보고 나는 그들을 구할 의술이 있는데, 예법에 구속이 되어 그냥 간다는 것은 인(仁)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친척집으로 돌아가서 그 비법을 말하여 위태한 자가 회생이 되니, 열흘 동안에 명성이 크게 떨쳐서 살려달라고 오는 사람이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그래서 문을 나가 다른 집으로 가면 사람들이 벌떼처럼 따라 다녔으며, 이에 약방문을 주었으나 그를 다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치진(治疹)하는 방법을 입으로 불러서 전수하게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의 내용은 그 뒤에 발행된 여러 가지 마진서(痲疹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김두종, 탐구당, 1979)
「朝鮮醫籍考」(三木榮, 『中外醫事新報』, 1932.11∼1935.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육창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