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대엽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조선 전기에 유행했고, 후에 거문고 독주용으로 바뀌어 연주되던 가곡의 원형으로 알려진 옛 곡.
내용 요약

만대엽은 조선 전기에 유행했고 후에 거문고 독주용으로 바뀌어 연주되던 가곡의 원형 곡이다. 본래 중대엽·삭대엽과 더불어 세 틀을 이루는 곡으로 고려가요 「정과정?에서 나왔다. 만대엽은 조선 초기에 유행하다가 중대엽이 유행하자 차츰 자취를 감춘다. 그리고 삭대엽이 유행하던 영조 무렵에는 완전히 사라진다. 만대엽은 평조 한 가지만 사용하며 중대엽·삭대엽보다 훨씬 느린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전해오는 옛 악보 중 『금합자보』의 만대엽이 가장 오랜 것이다. 이 만대엽의 장단과 현행 가곡의 장단이 같은 계통으로, 가곡의 원형이 된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유행했고, 후에 거문고 독주용으로 바뀌어 연주되던 가곡의 원형으로 알려진 옛 곡.
내용

조선 전기에 유행했고, 후에 거문고 독주용으로 바뀌어 연주되던 가곡의 원형으로 알려진 옛 곡. 한자의 이름에 따라 늦은 한잎이라고도 한다. 본래 주1 · 주2과 더불어 세 틀〔三機〕을 이루는 곡으로서 고려가요 주3에서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정과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만대엽 · 중대엽 · 삭대엽 3곡이 거의 동시에 발생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것들이 유행되기는 만대엽부터 차례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만대엽은 조선 초기부터 애호되다가 중대엽이 유행하던 숙종 때부터 차츰 자취를 감추었고, 삭대엽이 유행하던 영조 무렵에는 아주 사라진 듯하다. 그리고 만대엽이 기악화한 시기는 대개 선조 무렵으로 여겨진다.

중대엽과 삭대엽이 평조(平調) · 평조계면조(平調界面調) · 우조(羽調) · 우조계면조(羽調界面調)의 네 가지 조를 사용하는 데 비하여, 만대엽은 평조 한 가지만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만대엽의 음계는 거문고로 기준하여 임(㑣) · 남(㑲) · 황(黃) · 태(太) · 고(姑)의 5음 음계이다.

현재 전해오고 있는 옛 악보 가운데 주4의 만대엽이 가장 오랜 것이며, 그 원형으로 추정된다. 이 『금합자보』의 만대엽은 오늘날의 가곡처럼 5장과 주5을 갖춘 형식을 보여주는데, 한 정간(井間)을 한 박(拍)으로 한다면 각 장의 길이와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1장 32박 ‘오ᄂᆞ리 오ᄂᆞ리나’, 2장 29박 ‘ᄆᆡ일에 오ᄂᆞ리나’, 3장 51박 ‘졈므디도 새디도 오ᄂᆞ리’, 4장 29박 ‘새리나’, 5장 48박 ‘ᄆᆡ일댱샹의 오ᄂᆞ리 오쇼셔’, 여음 51박. 이러한 만대엽은 후에 주6주7에서도 5장과 여음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양금신보』에서는 그 노랫말이 탈락되고 대신 중대엽에 똑같은 노랫말이 보인다.

한편, 『양금신보』와 『대악후보』의 만대엽은 노랫말이 탈락되고 각 장의 길이가 확대되어 『금합자보』와는 서로 다르다. 이처럼 노랫말이 탈락된 것이나, 길이가 무한정으로 확대된 것은 이미 만대엽이 거문고의 기악독주곡 주8처럼 기악화된 것을 말한다. 장구 장단은 『금합자보』에 의하면 16정간 4행 단위로 반복되는데, 행마다 장구점이 있는 정간은 제1정간 · 제4정간 · 제6정간 · 제9정간 · 제13정간으로 현행 가곡의 장구 장단 중 북편과 일치하므로, 『금합자보』 만대엽의 장단과 현행 가곡의 장단이 같은 계통임을 알 수 있다.

한 배는 어느 정도인지 아직 알 수 없으나 중대엽과 삭대엽보다는 훨씬 느린 것으로 추측하며, 6대강(六大綱)의 사용법도 중대엽과 삭대엽이 제3강에서 시작되는 데 반해, 만대엽은 제2강에서 시작하므로 주9 등 세 틀로 된 악곡의 제일 느린 곡인 일기(一機)와 용강법(用綱法)이 같다. 이 곡의 본래 연주형태는 대체로 거문고 · 비파 · 피리 · 장구 · 북 등의 관 · 현 · 타 악기로 반주되는 모습이었다.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에는 이 곡의 곡풍을 “평조의 만대엽은 모든 곡의 으뜸으로서 조용하고 평담하다. 그러므로 만약 주10에 들어가 타게 된다면 유유할손 봄구름이 하늘에 뜨는 것 같고, 넓고 넓을손 춘풍이 들판을 쓰는 것 같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수록되어 있는 옛 악보로는 『금합자보』 · 『양금신보』 · 『국립국악원본금보(國立國樂院本琴譜)』 · 『현금동문유기』 · 『백운암금보(白雲庵琴譜)』 · 『증보고금보(增補古琴譜)』 · 『연대금보(延大琴譜)』 · 『현금신증가령(玄琴新證假令)』 · 『한금신보(韓琴新譜)』 등이 있다. →가곡

참고문헌

『금합자보(琴合字譜)』
『양금신보(梁琴新譜)』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
「만대엽고」(송방송,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보』 창간호, 1963)
「양금신보 만대엽의 해독」(황준연, 『한국음악연구』 12, 1982)
「대엽에 관한 연구」(황준연, 『예술논문집』 24, 1985)
주석
주1

국악 가곡의 원형 가운데 만대엽보다는 빠르고 삭대엽보다는 느린 중간곡. 초중대엽, 이중대엽, 삼중대엽의 세 종류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2

국악 가곡의 원형 가운데에 가장 빠른 곡. 우조(羽調), 계면조의 두 음계가 있고, 초삭대엽, 이삭대엽, 삼삭대엽, 편삭대엽의 네 가지 종류가 있다. 우리말샘

주3

고려 의종 때 정서(鄭敍)가 지은 가요. 유배지 동래(東萊)에서 자신의 외로운 심정을 산 두견이에 비유하여 임금을 사모하는 정을 노래한 것으로, 10구체 향가의 잔영을 보여 주는 작품이며, ≪악학궤범≫에 실려 있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선조 5년(1572)에 안상(安瑺)이 편찬한 거문고 악보. 임진왜란 이전의 여러 가지 악곡을 전해 주고 있어 ≪시용향악보≫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악보의 하나로 취급된다. 우리나라 보물이다. ⇒규범 표기는 ‘금보’이다. 우리말샘

주5

소리가 그치거나 거의 사라진 뒤에도 아직 남아 있는 음향. 우리말샘

주6

조선 광해군 2년(1610)에 양덕수가 편찬한 거문고의 악보. <만대엽(慢大葉)>, <북전(北殿)>, <중대엽(中大葉)>, <감군은(感君恩)#GT#따위의 아홉 곡이 수록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7

조선 영조 35년(1759)에, 서명응 등이 왕명을 받아 세조 때의 음악을 모아 엮은 악보집. 국립 국악원에 소장되어 있다. 7권 7책. 우리말샘

주8

국악기를 연주하기 전에 음률을 고르게 맞추기 위하여 적당히 짧은 곡조를 연주하여 보는 일. 또는 그런 악곡. 우리말샘

주9

조선 세종 때에 봉래의에서 전주곡과 여민락 다음에 <용비어천가#GT#125장 전편의 국한문 가사를 연주ㆍ노래하던 곡. 악보만 전한다. 우리말샘

주10

잡념을 떠나서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경지. 이 경지에서 바른 지혜를 얻고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다. 우리말샘

집필자
황준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