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돈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유광선의 시 · 기(記) · 부(賦) · 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광선의 시 · 기(記) · 부(賦) · 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6권 6책. 필사본. 권말에 민창도(閔昌道)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5에 시 1,260수, 권6은 사(詞) 2편, 부(賦) 6편, 전(箋) 1편, 계(啓) 1편, 통문(通文) 1편, 잠(箴) 4편, 비(碑) 1편, 명 4편, 송(頌) 5편, 송사(頌辭) 1편, 찬(贊) 3편, 서(序) 2편, 설(說) 2편, 기(記) 6편, 기후(記後) 2편, 변(辨) 1편, 평(評) 2편, 찬·명(銘)·전(傳)·행장 각 1편, 제문 14편, 부록인 묘지명(墓誌銘)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아직 간행하기 위한 편집 마무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차례가 다소 뒤바꾸어지는 등 첨삭이 덜 된 부분이 간혹 눈에 띈다. 내용은 구성의 체재에서 알 수 있듯이 거의 시(詩)로 채워져 있다.

영·호남에서 관북(關北)까지 발길 닿는 대로 유랑하며 읊은 시들로 우리나라의 명승은 모두 망라되었고, 각 고을의 인심까지 아울러 전하고 있다. 「쇄복서(曬腹書)」는 뱃속에 저장된 수많은 책을 하늘에 쬐어 말린다는 중국 학륭(郝隆)의 고사를 인용한 시제(詩題)로 몰락한 비애를 표현하고 있다.

4책에는 영·호남의 기승(奇勝)을 관광하며 적은 것이 담겨져 있다. 「서행록(西行錄)」은 길을 나서며 준비한 행장의 품목을 자세히 적고 있는데, 고검(古劍) 한 자루가 끼어 있어 옛 선비들이 검(劍)도 멀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게 한다. 「근차첨곡당숙운(謹次瞻谷堂叔韻)」은 100운의 거작으로 그의 가장 뛰어난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집필자
이종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