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계리 지석묘 ( )

목차
관련 정보
무계리 지석묘
무계리 지석묘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김해시 무계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남방식(바둑판식) 고인돌. 지석묘.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김해 무계리지석묘(金海 茂溪里支石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기념물(1996년 03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김해시 무계동 366-3 및 367-2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무계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남방식(바둑판식) 고인돌. 지석묘.
내용

1996년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962년 농부에 의해 냇돌로 벽을 쌓고 3매의 판석으로 뚜껑을 덮은 돌덧널이 우연히 발견되었는데, 덮개돌[上石]은 없어졌으나 원래 남방식 고인돌의 하부구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돌덧널은 동서장축이며, 크기는 2.3×1.2m정도이다. 돌덧널 내부의 동쪽 끝에서 파괴된 붉은간토기 1개체분, 돌화살촉 8개, 돌검 1점, 동촉 3점, 대롱옥[管玉] 3점이 출토되었다.

돌검은 길이 46㎝로 자루 끝과 칼코가 옆으로 길게 뻗은 특이한 형태이며, 그 자루의 모습은 실용품이 아닌 부장품용으로 만든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돌화살촉은 완형 6개, 파편 2개이며, 길이가 대략 11∼18.8㎝의 특별히 긴 유엽형으로서 이 또한 부장품화한 것이다.

청동촉은 녹이 슬고 파손되어서 완전한 형태는 아니지만 양익촉(兩翼鏃)임을 알 수 있다. 관옥은 벽옥제(碧玉製)로서 길이는 각각 3㎝ · 2㎝ · 1.8㎝이며, 지름 0.8㎝ · 0.6㎝ · 0.5㎝의 구멍이 뚫려 있다. 목걸이용 관옥이라고 믿어지며 유물 중 일부는 채집을 못한 듯하다.

붉은간토기는 파편뿐이지만 남한의 고인돌에서 흔히 나오는 둥근바닥의 단지이다. 이 고인돌은 청동기시대 후기에 속하는 전형적인 남방식(바둑판식)으로서 구조상 특이한 점은 없으나, 의기화(儀器化)한 석검과 3점의 청동촉이 나왔다는 점에서 고인돌 연구의 귀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해무계리지석묘의 출토품」(김원룡,『동아문화』1, 서울대학교, 1963)
「경상남도내의 최근출토유물」(박경원,『고고미술』3-8, 1962)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김원룡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