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유전리 고인돌 ( 고인돌)

목차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남방식 고인돌. 지석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남방식 고인돌. 지석묘.
내용

1959년 지방주민에 의하여 석기류 11점이 발굴되어 국립박물관에 보고되었다. 파괴된 남방식 고인돌이며, 1960년 김원룡(金元龍)이 현지를 조사하고 복원보고문을 발표하였다.

유적은 매곡면의 금강 상류 동쪽 기슭 평지에 있으며 경부선 황간역에서 남쪽 6㎞의 거리에 있다. 원래 3.0×2.5m에 두께 2m 정도의 화강암 거석이 장축을 남북으로 하고 밭 위에 있었고, 그 밑에는 지름 30∼40㎝ 정도의 돌 4,5개가 받쳐 있었는데 경작에 방해가 되므로 밭임자가 깨뜨려서 제거하였다.

그리고 경작을 위해 삽으로 땅을 파니까 지하 30㎝ 깊이에서 판석이 대략 원형으로 깔려 있었고 그 밑에서 석촉 8점이, 다시 그 밑에서 판석깔이, 그것을 들어내니까 석검 한점, 그 밑에서 또 판석깔이, 그 밑에서 석검 한점, 단인석부 한점, 그리고 또 판석깔이가 있었다 한다.

결국 판석깔이가 4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사이에서 석기류가 나왔다는 것이 되는데,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의 고인돌군에서도 “지하에 판석을 평면으로 겹쳐 쌓았을 뿐 아무런 관곽도 유물도 발견되지 않았다.”는 고인돌이 4기 보고되어 있어, 이것도 그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되나 판석으로 짠 돌덧널[石槨]이 무너진 것일 가능성도 전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여기에서 나온 석기는 일단병 석검 두개, 이른바 대팻날이라고 불리는 납작한 단인석부 한개, 유엽형 석촉 8개 등인데 석촉 중에는 삼국시대의 철촉의 조형이라고 할 수 있는 뱀머리형도 있다. 청동기시대 후기의 남방식 고인돌의 한 예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영동유전리지석묘의 특이구조와 부장품」(김원룡, 『역사학보』 12, 1960)
집필자
김원룡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