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타사 ()

목차
불교
유적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혜숙이 창건한 사찰.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혜숙이 창건한 사찰.
내용

삼국시대에 신라의 고승 혜숙(惠宿)이 창건하였다. 자세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욱면(郁面)이 염불수행하여 극락왕생한 절로 유명하며 『삼국유사』에는 욱면의 왕생설화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신라 경덕왕 때, 남자 신도 10여 명이 서방극락정토의 왕생을 발원하고, 염불만일계(念佛萬日契)를 이 절에 조직한 뒤 수행하였다. 그 10여 명 중 아간(阿干) 귀진(貴珍)이 있었으며, 귀진에게는 계집종인 욱면이 있었다. 욱면은 집주인을 따라 절에 가서 염불을 하였으나 법당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마당에서 하였다.

주인 귀진은 욱면이 일은 하지 않고 항상 자기를 따라다니며 염불하므로 이를 미워하여 곡식 두 섬을 주면서 하루 저녁에 다 찧어 놓으라고 시켰다. 그러나 욱면은 초저녁에 이 일을 다 마치고 절에 와서 부지런히 염불하였다. 욱면은 미타사의 뜰 좌우에 긴 말뚝을 박고, 두 손바닥을 뚫어 노끈으로 꿰어서 말뚝에다 매어 합장하고 좌우로 흔들면서 수행하였다. 그때 공중에서 “욱면랑은 법당에 들어가서 염불하라.”는 소리가 들렸다.

이 소리를 들은 절의 승려들이 욱면에게 권하여 함께 법당에 들어가 염불을 하였다. 얼마 안 되어 음악소리가 서쪽 하늘에서 들려오고 염불하던 욱면은 몸을 솟구쳐 법당의 대들보를 뚫고 서쪽으로 날아갔다. 마을 밖에 이르러 육신을 버리고 부처가 되어서 연화대(蓮花臺)에 앉아 큰 빛을 발하면서 천천히 사라져 가니 그 때까지도 하늘의 음악소리는 그치지 않았다고 한다.

법당 지붕에 뚫린 구멍은 열 아름이나 되었으며, 아무리 비가 많이 내려도 젖지 않았다고 한다. 그 뒤 어떤 사람이 금탑 하나를 만들어서 그 구멍을 맞추어 소란(小欄) 반자 위에 모셔 그 이상한 사적을 기록하여 놓았는데, 일연(一然)이 『삼국유사』를 지을 때도 그 글씨와 탑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그 뒤 회경(懷鏡)이 승선(承宣)·유석(劉碩)·이원장(李元長) 등과 함께 절을 중창하였다. 회경은 직접 토목공사를 맡았는데, 처음 재목을 운반할 때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서 삼[麻]으로 삼은 신과 칡으로 삼은 신을 한 켤레씩 주고, 또 옛날의 신사(神祠:신령을 모신 사당)로 가서 불교의 이치를 설명하였으므로, 그 신사 옆에 있는 재목을 베어 5년 만에 공사를 마쳤다고 한다.

그 뒤 절이 매우 번성하여 그 지역 일대에서 가장 번창한 큰 절이 되었다. 그러나 이 절의 폐사 시기 등은 알려져 있지 않다. 『삼국유사』에는 이 절이 지금의 경상남도 진주에 해당하는 강주(康州)에 있다고 하였으나, 『한국사찰전서』에는 보선(寶璿)의 설 등 여러 가지 근거를 밝히면서 지금의 영주시에 해당하는 강주(康州)의 오기임을 지적하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집필자
목정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