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참지의정부사,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앙지(仰止)
조은(釣隱)
시호
평도(平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70년(공민왕 19)
사망 연도
1422년(세종 4)
본관
반남(潘南)
주요 관직
지금주사|사헌시사|지춘주사|참지의정부사|우의정|좌의정
관련 사건
제1차 왕자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은은 조선전기 참지의정부사,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370년(공민왕 19)에 태어나 1422년(세종 4)에 사망했다. 문음으로 출사했으나 1385년(우왕 11) 문과에도 급제했다. 1394년(태조 3) 이방원에게 충성할 것을 약속한 이래 제1·2차 왕자의 난에서 그를 도와 공을 세웠고 그가 세자로 책봉되자 세자좌보덕으로 보필했다. 평양성 축성, 형집행제도·고시제도 개선 등의 업적이 있다. 1416년 47세의 나이로 우의정이 되어 소년입각의 사례를 남겼다. 1421년 병으로 좌의정을 사직한 뒤 이듬해에 죽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참지의정부사,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앙지(仰止), 호는 조은(釣隱). 할아버지는 박수(朴秀)이고, 아버지는 고려 말의 학자인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박상충(朴尙衷)이며, 어머니는 이곡(李穀)의 딸이다. 전법판서(典法判書) 주언방(周彦邦)의 사위이며, 어효첨(魚孝瞻)의 장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문음(門蔭)으로 판숭복도감사(判崇福都監事)를 받은 뒤, 1385년(우왕 11) 문과에 2위로 급제해 권지전교시교감(權知典校寺校勘) · 후덕부승(厚德府丞)을 거쳐 1391년(공양왕 3) 통례문부사(通禮門副使), 이듬해 개성부소윤(開城府少尹)이 되었다.

조선이 개창된 뒤에도 지금주사(知錦州事)가 되었고, 고과(考課)에 정최(政最)의 성적을 받아 좌보궐(左補闕)에 임용되었다. 1394년(태조 3) 지영주사(知永州事)로 있을 때 태조의 다섯 째 아들 이방원(李芳遠)에게 충성할 것을 약속하였다.

1397년 사헌시사(司憲侍史)를 거쳐 이듬해 발생한 무인정사(戊寅定社), 즉 제1차 왕자의 난 때 지춘주사(知春州事)로서 이방원의 집권을 위해 지방 군사를 동원하였다. 이어 사헌중승(司憲中丞) · 판사수감사(判司水監事)를 지내고 1400년(정종 2) 지형조사(知刑曹事)로 있을 때 발생한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역시 이방원을 도와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이방원이 왕세자가 된 1400년에는 세자좌보덕(世子左輔德)으로 그를 보필하였다.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에 오른 뒤 1401년 태종의 즉위 후 중용되어 형조 · 호조 · 병조 · 이조의 4조 전서(典書)를 두루 역임하고, 좌명공신(佐命功臣) 3등으로 반남군(潘南君)에 봉해졌다.

그 뒤 강원도도관찰출척사(江原道都觀察黜陟使) · 한성부윤 · 승추부제학(承樞府提學)을 역임하고, 1406년(태종 6) 전라도관찰사로 있을 때는 제주도의 동불(銅佛)을 구하러 온 명나라 사신을 예의로 잘 접대해 칭송을 받았다.

이듬해 진향사(進香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참지의정부사 겸 사헌부대사헌에 올랐다. 이어 형조판서에 옮겼다가 1409년에는 서북면도순문찰리사 겸 평양부윤으로 평양성 축성을 마쳤다.

1412년에는 관향인 반남이 나주에 속하자 금천군(錦川君)으로 개봉되었으며, 겸판의용순금사사(兼判義勇巡禁司事)가 되어 옥무(獄務)에서 신장(訊杖)의 사용 횟수를 1차 30인으로 정해 합리적인 형정 제도를 시행하였다. 1414년 이조판서 때에는 고공(考功)의 행정 제도를 개선하였다.

1416년 47세의 나이로 우의정이 되어 소년입각(少年入閣)의 예에 들었으며, 이어 부원군으로 진봉되고 좌의정 겸 판이조사에 올랐다.

충녕대군(忠寧大君)이 세자로 책봉될 무렵부터 심온(沈溫)과 대립해, 1418년(세종 즉위년) 심온의 옥사 때에는 심온의 반대 입장에서 관여했다는 세평을 듣고 있다. 1421년 병으로 좌의정을 사직하고 이듬해에 죽었다.

문과 초시에서 강경(講經)을 채택하도록 강력히 주장해 시행하도록 했다. 시호는 평도(平度)이다.

참고문헌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