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담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방담문집
방담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권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권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35년(헌종 1) 후손 형복(馨復)·재동(載東)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태좌(柳台佐)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부(賦) 5편, 사(辭) 1편, 시 30여 수, 소(疏) 1편, 서(書) 6편, 서(序) 2편, 제문 3편, 행장과 상량문 각 1편이 실려 있고, 유성룡(柳成龍)과 김상헌이 화답한 시 1편씩이 포함되어 있다.

권2에 「맹자서취정록(孟子書就正錄)」, 권3에 잡저로 「역도설(易圖說)」·「역상(曆象)」·「제례의식(祭禮儀式)」 3편, 권4는 부록으로 제문·만사 각 2편, 행장·유사·묘갈명·묘지명·입석고사(立石告辭)·이사봉안문(里社奉安文)·상향축문·묘우상량문(廟宇上樑文)·강당기(講堂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맹자서취정록」은 경전 연구서로서, 『맹자』 전편에서 82개 조항의 문제점을 추출, 기존의 주석에 개의치 않고 자신의 견해를 제시, 해설을 붙였으며, 언해하였다. 「역도설」은 하도(河圖)·낙서(洛書) 및 『주역』의 중요 도상들을 도표화하고 해설한 것이다.

「역상」은 천체의 도수(度數)와 역법(曆法)의 기초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것으로, 그의 학문적 취향과 깊이를 보여준다. 「제례의식」은 시제(時祭)·묘제(墓祭)·기제(忌祭)의 절차와 의식을 상세하고 간편하게 알 수 있도록 서술한 것이다. 유교예법을 손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