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선화 ()

현대음악
작품
1920년, 홍난파가 작곡한 「애수(哀愁)」라는 기악곡에 1926년 김형준이 가사를 붙여 만든 가곡.
이칭
이칭
봉숭아
작품/현대음악
창작 연도
1920년
발표 연도
1926년
작사자
김형준(金亨俊)
작곡자
홍난파(洪蘭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봉선화」는 1920년 홍난파(洪蘭坡)가 작곡한 「애수(哀愁)」라는 제목의 기악곡에 1926년 김형준(金亨俊)이 가사를 붙여 만든 가곡이다. 원래의 곡명은 「봉선화」였지만, 광복 후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면서 어려운 한자어를 순수한 우리말로 바꾼다는 국어 맞춤법 원칙에 따라 「봉숭아」로 바뀌었다가, 지금은 「봉선화」와 「봉숭아」 둘 다 사용하고 있다.

정의
1920년, 홍난파가 작곡한 「애수(哀愁)」라는 기악곡에 1926년 김형준이 가사를 붙여 만든 가곡.
구성 및 형식

「봉선화(鳳仙花)」는 8분의 9박자에 바단조로 된 곡으로, 조금 느린 속도의 작은 세도막 주1 및 동일한 선율에 여러 절로 된 다른 가사를 붙인 유절 주2으로 되어 있다. 4·4조의 가사에 동일한 리듬이 여섯 번 반복되며 선율은 점차로 상행하였다가 다시 하행하여 끝나고 있다. 피아노 반주가 붙어 있는데, 초보적인 주3 수준에 머물러 있고 반주로서의 독자적인 역할보다는 주로 선율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주4를 사용한 서정적인 분위기의 노래이다.

내용

우리 민족의 현실을 봉선화에 빗대어 ‘지금은 일제의 총칼에 짓밟히고 있지만 화창한 봄바람에 우리의 민족혼이 다시 피어난다’라는 내용의 노래이다. 원래의 곡명은 「봉선화」였지만, 광복 후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면서 어려운 한자어를 순수한 우리말로 바꾼다는 국어 맞춤법 원칙에 따라 「봉숭아」로 바뀌었다가, 지금은 「봉선화」와 「봉숭아」 둘 다 사용하고 있다. 가사는 모두 3절로 되어 있으며 1절 가사는 다음과 같다.

울밑에 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 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꽃필 적에 어여쁘신 아가씨들 너를 반겨 놀았도다

의의 및 평가

홍난파가 곡을 먼저 작곡하였고 이후 김형준이 가사를 붙인 가곡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곡은 1920년 자작 단편소설집 『처녀혼』의 서두에 「애수」라는 제목의 주5으로 발표되었고, 이에 가사를 붙여 「봉선화」라는 가곡으로 만들어 1926년 『세계명작가곡선집』을 통해 발표되었다.

우리나라 창작 가곡의 효시 중 하나라는 의미와 함께 피아노 반주가 붙은 최초의 곡, 단음계를 사용한 최초의 곡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발표와 함께 많은 사랑을 받았고, 광복 후 중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어 범국민적으로 애창되었다. 북한에서도 널리 애창되고 있으며, 해외 동포들 사이에서도 사랑을 받고 있다. 수원 올림픽공원과 충청남도 보령시 개화 예술 공원에 노래비를 설립하여 기념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처녀혼』 (홍난파 단편소설집, 1920)
『세계명작가곡선집』 (연악회, 1926)

단행본

민경찬,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양악편』 (두리미디어, 2006)
난파연보공동연구위원회, 『새로 쓴 난파 홍영후 연보』 (한국음악협회경기도지회, 민족문제연구소, 2006)
이유선, 『한국양악백년사(韓國洋樂百年史)』 (음악춘추사, 1985)
『한국가곡200곡선』 (세광출판사, 1972)
주석
주1

하나의 곡이 큰악절 세 개로 이루어진 형식. 중심부를 뺀 앞뒤의 두 부분이 똑같거나 매우 비슷하여 음악의 통일성과 다양성을 나타낸다. 가곡이나 소나타의 중간 악장 따위에 많이 사용한다. 우리말샘

주2

두 개 이상의 절을 지닌 가사에 대하여, 제1절에 붙인 가락을 제2절 이하의 가사에서도 쓰게 만든 작곡 형식. 우리말샘

주3

화음을 기초로 하여 선율을 조직하는 방법. 우리말샘

주4

온음계의 하나. 둘째와 셋째 사이, 다섯째와 여섯째 사이의 음정은 반음이고, 그 외 다른 음 사이의 음정은 온음을 이루는 음계이다. 계명으로 ‘라’ 음을 주음(主音)으로 한다. 우리말샘

주5

기악을 위하여 작곡한 곡. 우리말샘

집필자
민경찬(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