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 아미타여래 삼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상주 북장사 극락전 삼존불
상주 북장사 극락전 삼존불
조각
유적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불상.
목차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불상.
내용

1676년 작. 높이 아미타불상 196㎝, 관음보살상 188㎝, 대세지보살상 188㎝. 본존인 아미타불좌상은 머리 한가운데 타원형을 반으로 자른 듯한 모양의 계주(髻珠)가, 머리 위에는 원통형의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장식되어 있다.

넓적한 사각형의 얼굴에 오려붙인 듯한 이목구비, 밭은 목, 움츠린듯한 어깨, 경직된 신체에 걸쳐진 두꺼운 법의(法衣)의 느슨한 옷주름, 그리고 밋밋한 가슴을 가로지른 군의(裙衣)를 묶은 단순한 띠 등은 조선 초기 불상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오른손은 오른쪽 다리에, 왼손은 왼쪽다리에 놓아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의 손모양은 조선 전기 아미타불상의 손모양과는 구별되는 특징적인 모습이다. 본존과 닮은 관음보살상은 꽃장식이 화려하게 부착된 큰 보관(寶冠)을 쓰고 손에는 연꽃을 들었는데, 천의(天衣)가 아닌 법의를 입고 있어 소박한 느낌을 준다.

대세지보살은 팔의 위치만 다를 뿐 다른 특징은 관음보살과 거의 똑같이 표현되었는데, 다만 어깨가 올라간 사각형적인 신체를 수평으로 가로지른 군의가 띠모양으로 한번 접혔을 뿐이다.

이 삼존불상은 용암사목조아미타불좌상(1651)·원각사목조대세지보살좌상(1649)·남장사소조관음보살좌상(1668) 등 17세기에 제작된 불상들과 같은 양식에 속하는 불상들로서, 17세기 후반기에 정착화된 조선 후기 불상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조선시대의 미술·조각」(유마리, 『한국미술사』, 예술원, 1984.1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마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