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장사 영산회 괘불탱 ( ▽)

목차
관련 정보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회화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영산회 괘불탱.
목차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영산회 괘불탱.
개설

199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삼베 바탕에 채색. 세로 13.2m, 가로 8.07m. 화원인 학능(學能), 탁휘(卓輝), 혜명(惠明), 법란(法蘭), 운식(雲湜), 천율(天律), 선행(善行) 등 7명의 승려가 1688년(숙종 14)에 그렸다. “靈山掛佛一會(영산괘불일회)” 라는 명칭이 쓰여진 이 괘불탱은 정면 석가불 입상을 중심으로 팔대보살(八大菩薩), 십대제자(十大弟子), 범천과 제석천, 사천왕, 4구의 금강(金剛)이 둘러싼 군도(群圖)식 배치 구도이다. 화면에 석가불을 크게 묘사하고 그 좌우 여백에 청중(聽衆)을 일렬로 조그맣게 묘사하여 석가불 입상을 강조했다.

내용

키 모양의 광배(光背: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를 지닌 석가불은 두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 어깨에 걸침)의 법의(法衣: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를 걸쳤다. 오른손은 내렸으나 짧은 편이고 왼손은 배 앞에 두어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 모양이다. 본존불의 머리는 중앙 계주, 삼각형 모양의 육계(肉髻: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 그리고 그 위에 정상 계주로 장식되었다. 법의의 원문(圓紋)은 특징적이며, 가로와 세로로 교차하는 줄무늬 안의 화문(花紋: 꽃무늬)을 금니로 치장하는 등 옷 문양에 금이 집중되었다.

여의(如意)를 든 문수보살과 연꽃 줄기를 든 보현보살은 측면 전신상이다. 나머지 6구의 보살은 합장한 자세이다. 이마에 눈이 수직으로 묘사된 범천과 반대편의 제석천은 둥근 목깃의 천의(天衣: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를 입었다. 석가불의 두광(頭光: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 주위에는 나이 든 모습의 가섭과 젊은 승려 모습인 아난 등 십대제자가 다양한 복장과 자세, 손 모양을 하고 있다.

특징

이 북장사 괘불탱의 수화사인 학능은 공주 갑사 삼신불괘불탱(1650년)의 제작에도 참여하였다. 북장사 괘불탱은 이후 이 지역에서 유행한 본존을 입상 형식으로 변화시킨 군도식 영산회상도의 초기 작이라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이와 같이 군도식 영산회상도의 구도에 석가불만을 서 있는 형식으로 표현한 예는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1703년)에서 발견할 수 있다. 폭이 좁아진 화면에 수직으로 서 있는 석가불은 좁아진 어깨폭으로 인해 경직된 것처럼 보인다.

학능은 구도, 형태, 색채, 문양, 장식 등에서 독자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주황에 가까운 적색과 광배 등에 사용된 녹색은 갑사 삼신불괘불탱과 유사하나 불신(佛身)은 흰색으로 처리되었다. 17세기 중엽 괘불탱과는 달라진 특징으로 석가불의 내의에 묘사된 모란문과 법의의 원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혜명은 영천 수도사 노사나괘불탱(1704년)의 제작에도 참여한 화원이다. 창백한 둥근 얼굴 및 차분하면서 부드러운 파스텔톤의 채색법이 유사하다.

수많은 신도와 승려 등이 안료의 비용을 분담한 이 괘불탱은 구도와 형태, 채색, 장식적인 면에서 새로운 특징이 대두된 작품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괘불』(윤열수, 대원사, 1990)
『상주의 문화재』(상주대학교 상주문화연구소, 1998)
『한국의 미 』16-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조선 후기 괘불탱의 도상연구」(정명희,『미술사학연구』233·234, 한국미술사학회, 2004)
「朝鮮後期 掛佛幀 硏究」(이영숙,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朝鮮後期의 掛佛幀畵硏究」(정명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조선조 괘불의 고찰-본존 명칭을 중심으로」(장충식, 『한국의 불화』직지사본말사편(下), 성보문화재연구소, 199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마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