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구슬

목차
관련 정보
무령왕릉 출토 금제소옥
무령왕릉 출토 금제소옥
선사문화
유물
금 · 은 또는 금동으로 만든 속이 빈 구슬옥[球玉].
이칭
이칭
공옥(空玉)
목차
정의
금 · 은 또는 금동으로 만든 속이 빈 구슬옥[球玉].
내용

공옥(空玉)이라고도 하며, 삼국시대부터 나타난다. 두개의 얇은 반구형(半球形) 금속판을 맞붙여 만든 것이 대부분이다. 무령왕릉에서 나온 것처럼 둥근 표면이 세로로 요철을 이루어 밀감형태를 한 것과 표면에 따로 달개[瓔珞]를 단 것도 있다. 가야·백제지역에서도 나오지만 주로 고대 신라고분에서 다량으로 출토된다. 가야·백제의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마산 신촌리, 고성 두호리, 진주 대평리, 산청 묵곡리, 사천 이금동, 여수 봉계동 등이 있으며 신라의 경우 황남대총(皇南大塚)·천마총(天馬塚)·금령총(金鈴塚) 등을 들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빈구슬은 유리구슬옥이 고급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목걸이·팔찌·귀걸이 등에 쓰이고 있다. 이러한 빈구슬은 만든 재료와 형태를 통해 이를 착용한 사람의 신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준다. 특히 구슬의 제작기법 등은 교역을 통한 기술의 전수와 발달에 중요한 지표가 되므로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치레걸이를 통해 본 세형동검문화기의 특징」(이상길,『세형동검문화의 제문제』, 2002)
「신라와 가야의 장신구」(이인숙,『한국고대사논총』3, 1992)
『韓國の考古學』(金廷鶴 編, 河出書房新社, 197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진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