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곡검 ()

목차
선사문화
유물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금성리 고분에서 출토된 삼국시대의 철제 칼.
이칭
이칭
사행검(蛇行劍), 곡신검(曲身劍)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금성리 고분에서 출토된 삼국시대의 철제 칼.
내용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것으로서 철제 검신(劍身)이 S자형으로 굽어 있어 일본에서는 ‘사행검(蛇行劍)’ 또는 ‘곡신검(曲身劍)’이라 불린다.

이런 칼은 그 동안 일본에서 출토된 것 뿐이었기 때문에 일본의 독창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왔으나 1972년금성리고분에서 출토됨으로써 그 원류가 남한지방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일본에서의 출토 예는 이시카와현(石川縣) 후네(フネ)고분, 사카이시(堺市) 시치칸(七觀)고분, 도지카현(栃木縣) 구와(桑)고분, 효고현(兵庫縣) 가메야마(龜山)고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모두 길이 70㎝를 전후한 장검에 속하며 검신이 4, 5회 굽은 것이다. 그런데 구와고분 출토품은 굽은 곳이 각을 이루고 있어, 백제에서 건너갔다는 이른바 칠지도(七支刀)에서 변화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검은 청동기시대의 동검을 모방한 철검이 차츰 장신화되면서, 쇠를 불려 만든[鍛造] 외날대도[單刃大刀]가 출현한 데 대응하는 잠정적인 형태이다.

이는 요녕식(遼寧式) 동검이나 세형동검의 돌기 및 양날홈과 같은 기능을 장검에 응용한 것이 분명하다. 기능은 찔린 상처 폭을 넓게 하는 동시에 적의 칼공격[劍擊]으로부터 손을 막아내는 데 있다. 그러나 대도에 칼코가 발생함으로써 이러한 과도적인 형식은 사라졌다.

금성리 출토 검은 길이 75.0㎝로서 그 중 슴베 길이가 13.0㎝이고, 검신 너비는 4.3㎝인데, 4회 만곡을 이룬다.

이와 가장 비근한 예는 일본 후네고분 출토검으로서 길이 72.5㎝, 슴베 길이 15.5㎝, 검신 너비 4.0㎝로 역시 4회 만곡되어 있다. 다만, 금성리출토 검의 관부(關部)는 양쪽이 직각으로 꺾인 데 반해, 일본검은 거의 관부를 활처럼 굽은 형상[弧形]으로 처리한 점이 다르다.

의의와 평가

임실 금성리고분은 막돌로 쌓은 장방형 돌덧널[石槨]로서 철제대도(鐵製大刀) · 철모(鐵鉾) · 겸신(鎌身) · 마구재갈 등의 철제유물과, 긴목항아리 · 짧은목항아리 · 굽다리접시 등의 토기가 가야문화의 성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물을 통해서 이 고분의 연대는 5세기 중반경으로 보여진다.

참고문헌

「사곡검(蛇曲劍)에 대하여」(전영래, 『고고미술(考古美術)』129·130, 1976)
「임실금성리석곽묘군(任實金城里石槨墓群)」(전영래, 『전북유적조사보고(全北遺蹟調査報告)』3, 1974)
집필자
전영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