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홀기 ()

사례홀기 / 혼서식
사례홀기 / 혼서식
유교
문헌
조선 말기에, 사례의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여 1책으로 간행한 예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말기에, 사례의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여 1책으로 간행한 예서.
편찬/발간 경위

조선 말기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본의 경우 표지 이면에 ‘갑술춘정월매득(甲戌春正月買得)’이라고 먹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도 그 점을 뒷받침한다. 비슷한 내용의 책들이 많이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서지적 사항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내용

규장각 도서본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머리에 목록을 붙였으며, 먼저 관례에 대해 고사식(告辭式)과 관례제구(冠禮諸具)의 항목을 설명하였다. 혼례에 대해서는 혼서식(婚書式)·고사식·납채제구(納采諸具)·혼일제구(婚日諸具) 등의 항목이 있다.

상례에 대해서는 초종제구(初終諸具)·치장(治葬)·개영역사토지지구(開塋域祀土地之具)·천광(穿壙)·폄장(窆葬)·조조(朝祖)·발인(發靷)·제주지구(祭主之具)·우제(虞祭)·졸곡(卒哭)·소상(小祥)·대상(大祥)·담제(禫祭)·우제설찬도(虞祭設饌圖)·길제개제주고사(吉祭改題主告辭)·매주(埋主)·합제조이상(合祭祖以上)·개장지구(改葬之具)·복제식(服制式)·개영역사토지(開塋域祀土地)·사당고사(祠堂告辭)의 항목을 싣고 있다.

제례에 대해서는 시제지구(時祭之具)·기제지구(忌祭之具)·고비양위설찬도(考妣兩位設饌圖)·일위설찬도(一位設饌圖)·차례(茶禮)·삭참찬도(朔參饌圖)·차례찬도(茶禮饌圖)·천신찬도(薦新饌圖)·묘제(墓祭)·사토지(祀土地)·개사초(改莎草)·고묘(告墓)·유사고사(有事告辭)·고부묘(告祔廟)·지방식(紙榜式)·조장식(吊狀式)·위장식(慰狀式)·부의단자(賻儀單子)의 항목을 세워 설명하였다.

상례와 제례의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각 예에 대해서는 총론에 해당하는 설명을 곁들이기도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에 주와 그림을 곁들여 이해를 도왔다. 뒷부분에는 「사례보유(四禮補遺)」가 합철되어 있다. 그 내용은 앞부분에 대해 더욱 실제적인 사항을 보완한 것이다.

「사례보유」에서 다루고 있는 항목들 가운데 관례에 관한 것으로는 관자재배(冠者再拜), 혼례에 대한 것으로는 혼례제구(婚禮諸具)·사주단자(四柱單子)·택일(擇日)·의양(衣樣)·전안(奠雁)·초례(醮禮)·신례진폐(新禮進幣)·해현례(解見禮)·수채일(受采日)·전안시(奠雁時)·초례시(醮禮時)·신례시(新禮時)가 있다.

상례에 대한 것으로는 상인출입복(喪人出入服)·변례(變禮)·조례(吊禮)·조석곡당폐(朝夕哭當廢)·상중사자설궤연(喪中死者設几筵)·상식용소(上食用素)·택장지장일고사(擇葬地葬日告辭)·복제(服制)·사토지(祀土地)·장선영고사(葬先塋告辭)·합장시고선장위(合葬時告先葬位)·조조·부모동일하관(父母同日下棺)·증현훈(贈玄纁)·제주(題主)·합장(合葬)·우부(虞祔)·소상·대상·담제·국휼인산(國恤因山)·분상(奔喪)·개장(改葬)·제복(祭服)·매주(埋主)·구석물고유제(具石物告由祭)·분황(焚黃)·분산조수화급우적(墳山遭水火及遇賊)·사당실화(祠堂失火)·실묘주개조(失廟主改造) 등이 있다. 제례에 대해서는 따로 항목을 세우지 않았다. 휴대에 간편하도록 작은 규격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립중앙도서관본은 앞부분은 규장각 도서본과 동일하면서도 뒷부분에는 「사례보유」대신 편지 서식에 대한 여러 가지 요령을 수록한 「간독홀기(簡牘笏記)」각 합철되어 있다. 이 점도 「사례홀기」가 조선 후기 이래 민간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책들이 출판되고,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이용되던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의의와 평가

예학에 대한 많은 서적들이 전해지고 있으나 대개 학문적인 정리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데 비해, 이 책은 민간의 유교 의례가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전통시대 기층 사회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정선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