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단 ()

목차
의약학
개념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외감으로 오는 병과 내상에서 오는 병에 쓰는 약.
목차
정의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외감으로 오는 병과 내상에서 오는 병에 쓰는 약.
내용

외감에서 오는 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 등 육기(六氣)의 병과, 내상으로 오는 희(喜)·노(怒)·우(憂)·사(思)·비(悲)·공(恐)·경(驚) 등 칠정(七情)으로 발생하는 일체의 병, 그리고 과로 또는 음식상(飮食傷)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하는 약이다.

구체적으로 적응증을 설명하면 유행성전염병을 비롯하여 감모(感冒: 풍한사나 풍열사를 받아서 생기는 병)·식체(食滯)·비만(痞滿: 가슴과 배가 답답하거나 더부룩함)·흉복통증(胸腹痛症)과 폐·기관지 병, 임질·학질·황달·소아감충(小兒疳蟲)·적백대하(赤白帶下)·몽설(夢泄)·유정(遺精)·적취(積聚)·토사(吐瀉)·곽란(霍亂) 등의 증세를 치료한다.

처방은 대황(大黃) 123.5g, 조각구(皂角灸), 황금(黃芩), 나복자(蘿葍子)·행인(杏仁)·석창포(石菖蒲)·사군자(使君子)·오미자(五味子)·서각(犀角)·관동화(款冬花)·백렴(白蘞)·승마(升麻)·백지(白芷)·천문동(天門冬)·맥문동(麥門冬)·고본(藁本)·길경(桔梗)·마황(麻黃)·포황(蒲黃)·황률(黃栗)·부평(浮萍)·제조(蠐螬)·용골(龍骨)·산약(山藥) 각 16g을 가루로 만들어 오매육(烏梅肉)으로 환약(丸藥)을 짓되 37.5g을 10개로 만들어서 한 번에 3∼6개를 따뜻한 물에 복용한다. 그러나 임신부에게는 금기(禁忌)이다.

사시단은 25가지의 약재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이 태음인의 약재로서 만병통치에 가까운 처방이다.

참고문헌

『사상방약합편(四象方藥合編)』(권영식, 행림서원, 1974)
『사상진료의전(四象診療醫典)』(이태호, 행림서원, 1948)
집필자
홍순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