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왕문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사찰로 들어서는 3문(三門) 중 일주문 다음에 위치하는 대문을 지칭하는 용어.
이칭
이칭
천왕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사천왕문은 사찰로 들어서는 3문(三門) 중 일주문 다음에 위치하는 대문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사천왕문은 그림 또는 조각으로 조성한 사천왕을 봉안한 문이다. 사천왕은 천상계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는 사천왕천의 동서남북 네 지역을 관장하는 신으로,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천왕의 역할을 한다. 사찰로 들어서는 3문 중 일주문 다음에 위치하여 절을 외호하는 동시에 출입하는 이로 하여금 절이 청정 도량임을 인식하게 한다.

목차
정의
사찰로 들어서는 3문(三門) 중 일주문 다음에 위치하는 대문을 지칭하는 용어.
의미

줄여서 천왕문이라고도 한다.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을 모시는 곳으로, 이 문 안에는 그림 또는 주1 사천왕을 봉안하게 된다.

사천왕은 천상계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는 주2의 동서남북 네 지역을 관장하는 신화적인 존자들로서, 수미산(須彌山)의 중턱 사방을 지키며 주3의 중생들이 불도에 따라 올바르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살피고 그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천왕들이다. 고대 인도의 신이었던 그들은 불교에 채택되면서부터 부처님의 교화를 받고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천왕(護法天王)의 구실을 맡도록 되었던 것이다.

변천

우리나라의 천왕문 내에 있는 사천왕의 지물(持物)은 시대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여러 불교 경전에 나타나는 인도 전래의 형상과도 차이가 있다. 통일신라시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모두 무장형(武將形)으로 칼, 창, 금강저, 탑 등을 들고 있다. 오른손에 탑을 들고 있는 주4을 제외한 주5, 주6, 주7의 경우에 칼, 창, 금강저 등 다양한 지물을 들고 있다.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 주8에서 발견된 청동 주9 외면의 사천왕상이나 경주 토함산 주10의 복도 양측에 부조된 사천왕이 대표적인 이른 예이다. 이후 사천왕의 대중화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양식으로 전개되어 갔다.

절에 이러한 천왕상을 봉안한 천왕문을 건립하는 까닭은 절을 외호한다는 뜻도 있지만, 출입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 수호신들에 의해서 도량 내의 모든 악귀가 물러난 청정 도량이라는 신성 관념을 가지게 하려는 데도 뜻이 있다. 또한, 수행 과정상의 상징적인 의미에서 볼 때는 일심(一心)일주문을 거쳐 이제 수미산 중턱의 청정한 경지에 이르고 있다는 뜻도 내포하고 있다.

이 천왕문에 이르기 전에 따로 주11을 세우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천왕문의 입구 문에 금강역사(金剛力士)의 모습을 그리거나 따로 금강역사상을 봉안하여 금강문의 기능을 대신하기도 하며 때로는 인왕역사(仁王力士)를 봉안하기도 하는데 이들은 주12 수호를 위한 제일 관문의 신이다.

참고문헌

논문

배진달, 「石佛寺 圖像考-華嚴佛身觀의 신라적 해석」(『미술사연구』 22, 2008)
심효섭, 「한국 고대 불교사원내 사천왕문의 형성考」(『역사와 교육』 9, 2000)
임영애, 「천왕문의 등장: 사천왕상의 봉안위치와 역할」(『신라문화』 52, 2018)
주석
주1

불상이나 부처의 화상(畫像)을 만들다. 우리말샘

주2

육욕천의 첫째 하늘. 수미산 중턱에 있는, 사천왕과 그 권속들이 사는 곳으로, 지국천, 증장천, 광목천, 다문천이 있어 위로는 제석천을 섬기고 아래로는 팔부중을 지배하여 불법에 귀의한 중생을 보호한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3

괴로움이 많은 인간 세계. 석가모니불이 교화하는 세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4

사천왕(四天王)의 하나. 다문천을 다스려 북쪽을 수호하며 야차와 나찰을 통솔한다. 분노의 상(相)으로 갑옷을 입고서 왼손에 보탑(寶塔)을 받쳐 들고 오른손에 몽둥이를 들고 있다. 우리말샘

주5

사천왕(四天王)의 하나. 지국천을 다스리며, 동쪽 세계를 지킨다. 붉은 몸에 천의(天衣)로 장식하고, 왼손에는 칼을 들고 오른손에는 대체로 보주(寶珠)를 들고 있다. 절의 입구 사천왕문에 입상이 있다. 우리말샘

주6

사천왕(四天王)의 하나. 광목천을 다스리며, 용신(龍神)ㆍ비사사신(毘舍闍神)을 거느리고 서쪽 세계를 지킨다. 입을 벌리고 눈을 부릅떠 위엄으로써 나쁜 것들을 물리친다. 우리말샘

주7

사천왕의 하나. 증장천을 다스리며, 자기와 남의 선근(善根)을 늘어나게 한다. 몸의 색깔은 붉고 왼손은 주먹을 쥐고 허리에 대고 있으며, 오른손으로는 칼 또는 미늘창을 잡고 있다. 절의 사천왕문에 입상(立像)이 있다. 우리말샘

주8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감은사 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세워진 것으로, 동서 두 탑이 같은 규모와 구조로 이루어졌으며 규모가 비교적 큰 석탑이다. 우리나라 국보이다. 우리말샘

주9

사리를 보관하는 데 사용하는 그릇. 우리말샘

주10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 동쪽에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석굴 사원. 신라 경덕왕 때에 김대성이 쌓아서 만든 것으로, 화강암을 석굴 모양으로 쌓아 올려 그 위에 흙을 덮었으며, 굴 가운데 흰 화강암에 조각한 석가여래 좌상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여러 불상이 있는데, 간단하고도 기묘한 모양과 영묘함이 불교 예술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불국사와 더불어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경주 석굴암 석굴’이다. 우리말샘

주11

절에 들어가는 입구에 양쪽으로 금강신을 세워 놓은 문. 우리말샘

주12

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선아(명지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