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동계(東界)의 계수관(界首官)인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등주(登州)를 중심으로 편성된 역로망이다.
『고려사』 권82 병지2 참역(站驛)에, “삭방도(朔方道)는 42개의 역을 관할한다. 고산(孤山)[위산(衛山, 강원도 안변군)], 남산(嵐山)[문주(文州, 강원도 문천시)], 보용(寶龍)[서곡(瑞谷, 강원도 안변군)], 삭안(朔安)[등주(登州, 강원도 안변군)], 원심(原深)[파천(菰川, 강원도 통천군)], 요지(瑤池)[학포(鶴浦, 강원도 통천군)], 추풍(追風)[상음(霜陰, 강원도 안변군)], 철관(鐵關)·통달(通達)[고주(高州, 함경남도 고원군)], 지원(知遠)[화주(和州, 함경남도 금야군)], 덕령(德嶺)[문주], 장춘(長春)·통기(通歧)[장주(長州, 함경남도 정평군)], 장창(長昌)[정주(定州, 함경남도 정평군)], 무림(茂林)[장주], 귀후(歸厚)[요덕(耀德, 함경남도 요덕군)], 안신(安身)[정변(靜邊, 함경남도 요덕군)], 정산(靜山)[영인(寧仁, 함경남도 금야군)], 회녕(懷寧)·선덕(宣德)·거천(巨川)[원흥(元興, 함경남도 정평군)], 조동(朝東)[진명(鎭溟, 강원도 원산시)], 평원(平元)[영흥(永興, 함경남도 고원군)], 통화(通化)[장평(長平, 함경남도 금야군)], 장풍(長豐)[금양(金壤, 강원도 통천군)], 동덕(同德)[흡곡(歙谷, 강원도 통천군)], 등로(藤路)[임도(臨道, 강원도 통천군)], 초진(超塵)[운암(雲嵒, 강원도 통천군)], 고잠(高岑)[고성(高城, 강원도 고성군)], 양린(養麟)[환가(豢猳, 강원도 고성군)], 태강(泰康)[안창(安昌, 강원도 고성군)], 죽포(竹苞)·청간(淸澗)[간성(杆城, 강원도 고성군)], 관목(灌木)·운근(雲根)[열산(列山, 강원도 고성군)], 장부(長富)[용진(龍津, 강원도 문천시)], 벽목(碧木)·임운(林雲)·거방(巨坊)·일수(溢守)·장기(長歧)·부녕(富寧)[운암(雲嵒, 강원도 통천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 원문에는 안신역(安身驛)이 청변(靑邊)에 위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정변진(靜邊鎭)의 오기로 추정된다.
삭방도는 동계의 주요 주진(州鎭)인 안변도호부 등주의 성종대 별호(別號)인 삭방(朔方)을 사용한 역도 명칭이다. 역도 명칭에 삭방 즉, 등주가 포함된 만큼 삭방도는 안변도호부 등주를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물론 등주에는 삭안역만이 위치하였지만, 등주를 둘러싼 속현(屬縣)에 자리한 다수의 역을 통해 삭방도는 세 방면으로 뻗어 나갔다.
등주의 서남 방면으로 문주·위산을 경유하여 철령(鐵嶺)을 넘어 도원도(桃源道)의 역로와 만나 교주(交州)로 향하였다. 동쪽 방면은 상음·학포·흡곡을 시작으로 동해안을 따라 남하하여 청간을 지나 명주도(溟州道)와 만났다. 그리고 등주의 북쪽 방향도 정주에까지 이르렀는데, 서북방면에서는 북계(北界)와 동계가 나뉘는 낭림산맥의 맹주현(孟州峴)과 죽전령(竹田嶺)을 넘어 운중도(雲中道)의 역로와도 접속되어 북계 방면으로 진출하였다.
고려시대 삭방도는 철령 이북의 군사지대인 동계 관내를 아우르는 유일한 역로망으로 군사도로의 성격이 강하였다. 더욱이 삭방도는 원산만의 대표적인 양항(良港)인 원흥진(元興鎭)을 중심으로 하는 동해 항로와도 결합되어 해로를 통한 동계로의 군수 물자 수송에도 관여하였다. 향후에는 삭방도 서북쪽의 역로망인 운중도와의 결합 관계 등에 관해서도 세밀한 고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