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수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의 병종인 삼수군(三手軍) 가운데 칼 · 창 등 단병기(短兵器)를 들고 싸우는 군대조직.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병종인 삼수군(三手軍) 가운데 칼 · 창 등 단병기(短兵器)를 들고 싸우는 군대조직.
내용

임진왜란을 치르는 과정에서 척계광(戚繼光)의『기효신서(紀效新書)』에 기록된 절강병법(浙江兵法)이 왜군방어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드러나자, 조선의 중앙군과 지방군은 각각 1593년(선조 26)·1594년부터 속오제(束伍制)에 의해 편제되어 삼수기(三手技)를 훈련받기 시작하였다.

조총의 등장으로 종전과 전혀 다른 전투양상이 전개됨으로써 포수(砲手)가 가장 중시되었으나, 근접전에서는 살수에 의지하여야 되었던 까닭에 살수는 포수에 버금가는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조선의 살수는 보병으로서 각 대(隊)가 대총(隊總) 1인 밑에 등패(藤牌) 2인, 낭선(狼筅) 2인, 장창(長槍) 4인, 당파(钂鈀) 2인, 화병(火兵) 1인으로 편제되어, 대체로『기효신서』의 편제와 유사하였다.

창검술 및 등패·낭선·당파 외도 목곤(木棍)·권법(拳法) 등 다양한 살수기(殺手技)가 훈련되었으며, 이들 기예는 또한 군사 시취(試取)의 과목으로도 적용되었다. →삼수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진관관병편오책(鎭管官兵編伍冊)』
『기효신서(紀效新書)』
『조선시대(朝鮮時代) 군제(軍制) 연구(硏究)』(차문섭, 단국대학교출판부, 1973)
집필자
오종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