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이정청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삼정(三政)의 잘못을 바로잡는 임시 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삼정(三政)의 잘못을 바로잡는 임시 관서.
내용

1862년(철종 13) 5월에 설치한 관서이다. 조선 후기의 이정청(釐整廳)은 원래 군제(軍制)의 문란을 정리하고 군정을 쇄신하기 위한 일종의 양역(良役)의 변통(變通)을 위한 제도로서 1703년(숙종 29)에 설치하여 각 군문(軍門)의 군액(軍額)을 감하고, 일영오부제(一營五部制)로 개혁되었다.

그러나 경비의 부족으로 오부제의 편성도 백성에게 많은 부담을 주게 되어 여러가지 변통절목(變通節目)을 정하였으나, 그 또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영조 때 균역법(均役法) 실시에까지 가게 되었다.

그러나 철종 때에 들어와 오랫동안 누적된 삼정문란과 탐관오리의 착취로 삼남일대는 민란이 잇달아 일어나 이를 수습하기 위하여 안핵사(按覈使)·선무사(宣撫使)·암행어사 등을 파견하여 그 수습책을 강구한 결과 안핵사 박규수(朴珪壽)의 상소로 시정책이 건의되었다.

그래서 1862년 5월 26일 삼정이정청을 설치할 것을 결정하고, 정원용(鄭元容)·김흥근(金興根)·김좌근(金左根)·조두순(趙斗淳) 등 원로 중신급을 총재관(總裁官)으로, 김병기(金炳冀)·김병국(金炳國) 등 판서급을 당상관(堂上官)으로 임명하여 그 대책을 강구하게 한 결과, 전정(田政)·군정(軍政)은 민의에 따라 현황을 시정하고 환정(還政)은 파환귀결(罷還歸結)에 따르기로 하였다.

이 교구책으로 각 지방의 민란은 소강상태를 회복하였으나 5∼6월의 한재와 7월의 수재가 심하여 민심은 계속 흉흉하였고, 삼정이정청은 그 해 윤8월 19일「삼정이정절목(三政釐整節目)」을 책으로 반포하여 철폐되고, 그뒤의 삼정업무는 비변사에서 관장하였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경산집(經山集)』
집필자
박정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