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경상도의 계수관(界首官)인 상주목(尙州牧) 관내에 위치한 25개 역을 아우르는 역로망이다.
『고려사』 권82 병지2 참역(站驛)에, “상주도(尙州道)는 25개의 역을 관할하는데, 유곡(幽谷)[호계(虎溪, 경상북도 문경시)], 낙원(洛原)·낙동(洛東)[상주], 청로(靑路)·철파(鐵波)[의성(義城, 경상북도 의성군)], 지보(智保)[용궁(龍宮, 경상북도 예천군)], 통명(通明)[보주(甫州, 경상북도 예천군)], 덕통(德通)[함창(咸昌, 경상북도 상주시)], 옹천(甕泉)·안기(安基)[안동(安東, 경상북도 안동시)], 안교(安郊)[풍산(豐山, 경상북도 안동시)], 요성(聊城)[문경(聞慶, 경상북도 문경시)], 수산(守山)[다인(多仁, 경상북도 의성군)], 쌍계(雙溪)[비옥(比屋,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安溪)[안정(安定, 경상북도 의성군)], 금조(琴曹)·통산(通山)·송제(松蹄)[임하(臨河, 경상북도 안동시)], 연향(連鄕)·구어(仇於)[선주(善州, 경상북도 구미시)], 우곡(牛谷)[의흥(義興, 경상북도 군위군)], 상림(上林)[해평(海平, 경상북도 구미시)], 조계(曹溪)[효령(孝令, 경상북도 군위군)], 문거(文居)·화목(和目)[안덕(安德, 경상북도 청송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상주도라는 역도 명칭은 고을 명칭인 상주에서 유래하였다. 그런 만큼 상주도는 상주 관내의 문경군·용궁현·함창군·해평군·비옥현 등 11개 고을의 13개 역을 관할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안동부(安東府) 관내 7개 고을의 12개 역 시설도 포괄하였다. 또한 상주는 낙동강 이서(以西)지역에 위치하지만, 상주도는 안동부 관내뿐만 아니라 상주 관내의 여러 역들 거의 대부분이 낙동강 이동(以東)방면에 분포하였다.
따라서 상주도의 주요 진출 방향은 동북쪽의 안동부 관내의 예천·임하·의성 일대와 낙동강 건너편의 구미·군위 일대이다. 이처럼 낙동강이 상주도의 분포영역을 남북으로 가로지르고 있기 때문에 상주도 역도망 내에는 낙동강을 도하(渡河)하는 나루시설이 다수 존재하였다.
낙동강을 도하하는 상주도의 역로망은 ① 덕통역(德通驛, 함창현) - 하풍진(河豊津, 용궁군) - 수산역(守山驛, 다인현)의 경로, ② 낙양역(洛陽驛, 상주) - 낙동진(洛東津, 상주) - 낙동역(洛東驛, 상주)의 경로, ③구어역(仇於驛, 선주) - 여차니진(餘次尼津, 일선현) - 연향역(連鄕驛, 선주)의 경로 등이다. 이렇게 낙동강을 건너 동남쪽으로 향하던 역로망은 경주를 중심으로 편성된 경주도(慶州道)와 만나게 된다.
이외에도 상주 북쪽 소백산지의 주요 고갯길인 계립령(鷄立嶺, 경상북도 문경∼충청북도 충주)으로 진출하는 경로가 확인된다. 상주도의 요성역에서 소백산맥의 고갯길을 넘으면 광주도(廣州道)의 안부역(安富驛, 충청북도 충주시)에 이르게 된다. 또한 안동부에 위치한 상주도의 옹천역에서는 평은역(平恩驛,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평구도(平丘道)의 역로망에 진입하여 소백산맥의 또 다른 고갯길인 죽령(竹嶺, 경상북도 영주∼충청북도 단양)을 넘어 경기권역으로의 진출이 가능하였다.
고려시대 상주도는 상주의 고을 위상에 걸맞게 전통적인 역사 중심지인 경주와 경기권역을 이어주는 중간 지점에 분포하였다. 이러한 상주도의 관할 영역을 가로지르는 낙동강을 도하하는 여러 나루시설의 존재와 소백산지의 주요 고갯길로 이어지는 상주도의 경로 등은 전국 단위의 육상교통망에서 상주도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알려주는 근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