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착상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 중고기의 전문기술관직.
이칭
이칭
소석착인(小石捉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 중고기의 전문기술관직.
내용

축성 등 공사에 있어서 군상촌주(郡上村主) 또는 작상인(作上人, 城使上)을 보좌하면서 성(城)의 심석(心石)을 다듬고 운반하는 책임을 맡은 장인이다. 이는 남산신성비(591)에만 보이는데, 그 출신지역에 따라 석착상(石捉上)·소석착인(小石捉人)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이름이 남산신성비의 단계에서 나타난 것은 그 이전에는 각 지방의 장인들을 집단으로 파악하였으나, 행정조직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기술직들의 직능에 따라 작상인(또는 城使上)·장척·문척(文尺)·면석착인(面石捉人, 面捉上人)·소석착인(小石捉人, 石捉上) 등으로 분화 편제되었던 사실을 반영한다.

그런데 이들 기술직들은 관등에 있어서 작상인을 제외하고는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그들의 기술적 전문성 곧 일종의 분업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분화·편제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특히 이들을 해당작업의 책임자를 지칭하는 ‘상(인)’이라고 일컬었다는 점에서, 이들은 그 휘하에 일반 역부 또는 잡공들을 거느리고 성의 심석을 다듬고 운반하여 성을 쌓는 일을 책임졌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신라수공업사(新羅手工業史)』(박남수, 신서원, 1996)
『한국금석유문(韓國金石遺文)』(황수영 편, 일지사, 1976)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를 통하여 본 신라(新羅)의 지방통치체제(地方統治體制)」(이종욱, 『역사학보(歷史學報)』 64,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