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운사 아미타극락회상도 ( )

목차
관련 정보
고창 선운사 아미타극락회상도
고창 선운사 아미타극락회상도
회화
작품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벽화.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벽화.
내용

1840년(헌종 6) 작. 흙벽에 채색. 너비 320㎝. 대웅전의 중앙 벽에 그려진 삼불탱화(三佛幀畫) 중의 하나로 비로자나불화(毘盧遮那佛畫) · 약사불화(藥師佛畫)와 함께 그려져 있다. 구도는 비교적 간단하여 아미타불(阿彌陀佛)과 4보살, 2비구 및 팔부신중(八部神衆)이 표현되어 있다.

원형 두광(圓形頭光)과 신광(身光)을 지닌 아미타불은 육계(肉髻)가 낮아져 둥글어지며, 정상 계주(頂上髻珠)는 생략된 반면 중앙 계주는 크게 표현되었다. 머리카락은 나발(螺髮)이다. 종래 윤곽선에만 나발이 표현되었던 것과는 달리 일일이 그려 마치 파마를 한 듯한 새로운 머리 모양을 보여 준다.

연꽃줄기 위에 활짝 핀 연화좌(蓮華座)에 앉은 아미타불은 신체 각 부분이 네모반듯한 모습이며 불안정해 보인다. 두 손의 모양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이다.

본존의 연꽃대좌에서 뻗어 나온 연꽃 위에 선 관음보살은 화불(化佛)이 새겨진 높은 보관을 쓴 백의관음(白衣觀音)으로 손에는 보병(寶甁)을 잡고 있다.

그리고 육중하고 장식이 화려한 보관(寶冠)에 보병을 새긴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은 연꽃송이를 들고 있다. 이 두 보살 이외의 보살은 합장을 하고 있다. 화면의 윗부분에는 아난(阿難)과 가섭(迦葉) 및 팔부신중이 표현되어 있다.

색채는 적색과 녹색이 주조를 이룬다. 하지만 녹색 계열과 흰색 등이 많이 사용되어 전체적으로 차고 푸르스름한 느낌을 준다. 그런데 18세기 전반기의 붉은색 위주의 부드러운 색조를 보이던 불화들과는 차이가 난다.

화기에 의하면 화원(畫員) 익찬(益贊) 외 10인이 공동 제작하였다고 적혀 있다. 익찬 등은 1831년 작 「아미타극락회상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제작에도 참여하였기 때문에 이 두 작품은 좋은 비교가 된다.

고려시대에 성행하였던 후불 벽화가 조선시대 후기에도 계속해서 그려졌다는 것을 알려 주는 예로서 중요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미(美) 16 -조선불화(朝鮮佛畵)-』(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한국(韓國)의 불화(佛畵)』(문명대, 열화당, 1979)
「조선조아미타불화(朝鮮朝阿彌陀佛畵)의 연구(硏究)」(유마리, 『조선조불화의 연구 -삼불회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조선조아미타불화(朝鮮朝阿彌陀佛畵)의 연구(硏究)」(유마리, 『조선조불화의 연구 -삼불회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마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