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방형 축대 내에서 지대석(地臺石)을 짜고 그 위에 방형 1석의 상변을 둥글게 다듬은 하대석을 얹고, 그 위에 방형중석을 세웠다. 이 중석은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를 모각(模刻)한 2매의 면석을 전후에 세우고, 좌우에는 이 전후 면석의 측면후를 우주로 한 면석을 방형으로 조합하였다.
갑석(甲石)은 방형 1매석으로 하면은 수평으로 다듬고 중앙에는 1단의 중석받침이 각출되었으며, 상면은 약간의 경사를 이루고 중앙에는 1단의 초층옥신 굄이 있다. 초층옥신은 방주 1석에 우주를 얕게 모각하였다. 추녀는 수평으로 얇으며 모퉁이에서 약간의 반곡이 있을 뿐이며, 낙수면의 경사는 얇으며 우동선(隅棟線)은 거의 직선으로 반전이 미미하다.
추녀 밑은 넓은 편이며 5단의 받침이 낮게 새겨져 있다. 제2탑신부터는 방형 1석으로서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어 제1옥신 높이의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제2옥개석의 추녀는 수법은 초층과 같으나 약간의 체감률을 보이고 있을 뿐이다. 제3층은 옥개석 너비의 체감률이 초층과 2층의 비율보다 심하며, 3층 이상의 체감률은 같다. 옥신의 우주, 옥개석 하면의 5단받침 등 수법은 모두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