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흥사(聖興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梵魚寺)의 말사이다. 833년(흥덕왕 8)에 무염(無染)이 창건하였으며, 창건에 얽힌 설화가 전래되고 있다. 흥덕왕 초년에 창원 지방에는 왜구의 침략이 잦아 왕이 몹시 고민하였는데, 어느 날 꿈에 백수노인이 나타나서 지리산에 있는 무염을 불러 왜구를 평정하게 하라고 하였다. 왕은 사신을 보내어 도승을 모시고 간절히 당부하였다. 무염은 팔판산 위에 올라가 한 손에 지팡이를 잡고 한 손으로 자신의 배를 몇 번 두드리니 뇌성벽력이 천지를 진동하므로 왜구들은 신라 군사들의 함성으로 착각하고 달아났다. 왕이 이에 무염에게 재물과 전답을 시주하여 구천동에 터를 골라서 절을 창건하게 하였다고 한다.
창건 당시 이 절은 승려가 500여 명이 머물렀던 대사찰이었으나, 창건 후 276년 만에 화재로 소실된 뒤 대장리로 옮겨 주1, 1668년(현종 9)의 화재로 다시 구천동으로 옮겼다가, 1789년(정조 13)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창되었다.
성흥사의 현존하는 당우로는 중창 당시의 건물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주지 성법(性法)과 신도회의 노력으로 중건한 나한전 · 칠성각 · 일주문 · 요사채 등이 있다. 절 입구에는 2기의 당간지주와 8기의 원통형 부도가 있고, 절 옆에는 수령 600년 된 느티나무가 있다.
대웅전은 1976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앞면 3칸 · 옆면 3칸이고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주2이지만, 지붕의 경사가 완만한 일반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대단히 기울어져 주3의 느낌을 준다. 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을 보이지만, 근래에 보수되며 원형에 많은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대웅전에 봉안된 창원 성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2015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불상 안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을 통해 1658년 희장을 비롯한 조각승이 제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한전에 봉안된 창원 성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도 2015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곳에는 1890년(고종 27)에 그린 무염의 영정도 봉안되어 있는데, 매우 섬세한 필체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