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2.9m. 1986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야트막한 야산에 서북향으로 세워져 있는 이 석불은 뒷산에서 발견된 것을 옮겨 온 것이다. 현재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의 상반부가 모두 깨어졌으며 마멸이 심한 얼굴도 시멘트로 접합하였다.
광배와 불신이 한 돌로 조각된 여래입상이다. 머리는 민머리에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우뚝하다. 얼굴은 살이 올라 풍만한 모습이지만 마멸로 인해 이목구비가 불분명하다.
신체는 고부조(高浮彫 : 높은 돋을새김)이지만 볼륨이 약하고 조각도 얕아 세부 특징이 불분명하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이다. 옷주름은 둥근 목깃 아래로부터 U자형으로 연속된다. 이러한 층단식 옷주름은 양다리 위에서도 확인된다.
양 팔목을 감싸고 아래로 곧게 드리워진 소맷자락과 둥글게 마무리된 하단 자락 그리고 그 아래의 상의(裳衣 : 치마) 자락 등, 전체적인 착의법(着衣法)은 통일신라 후기 전통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체에 비해 상당히 크게 표현된 양손은 오른손을 위로, 왼손을 아래로 하여 복부 중앙에 모아 설법인(說法印)의 수인을 맺었다.
광배 역시 마멸로 세부 특징이 불분명하지만 당초문(唐草文 : 덩굴무늬) 형태로 휘감겨 올라가는 역동적인 불꽃무늬가 뚜렷이 남아 있다.
일부 매몰된 별석(別石)의 대좌는 서로 맞붙은 이중의 연화좌로 추정된다. 불상의 뒷면은 마치 암벽에서 떼어낸 듯 평면적이며 곳곳에 끌 자국이 선명하다.
역동적인 불꽃무늬가 새겨진 광배 형식, 한 돌로 조각된 불신과 광배, 우드야나식(udy{{%120}}na式)의 착의법, 복부에 모아 맺은 특징적인 설법인의 수인, 불신 하단에 난 촉을 통해 대좌와 결합한 수법 등은 남원 지역의 고려시대 석불(龍潭寺址 · 彌勒庵 · 迦德寺 · 龍珠庵 석불입상 등)에 흔히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조각 양식은 고려시대 남원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일군(一群)의 조각가 집단에 의한 지방 양식으로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