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전리 석불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남원 세전리 석불입상
남원 세전리 석불입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이칭
이칭
남원세전리석불입상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재(1986년 09월 08일 지정)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 산17번지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내용

높이 2.9m. 1986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야트막한 야산에 서북향으로 세워져 있는 이 석불은 뒷산에서 발견된 것을 옮겨 온 것이다. 현재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의 상반부가 모두 깨어졌으며 마멸이 심한 얼굴도 시멘트로 접합하였다.

광배와 불신이 한 돌로 조각된 여래입상이다. 머리는 민머리에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우뚝하다. 얼굴은 살이 올라 풍만한 모습이지만 마멸로 인해 이목구비가 불분명하다.

신체는 고부조(高浮彫 : 높은 돋을새김)이지만 볼륨이 약하고 조각도 얕아 세부 특징이 불분명하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이다. 옷주름은 둥근 목깃 아래로부터 U자형으로 연속된다. 이러한 층단식 옷주름은 양다리 위에서도 확인된다.

양 팔목을 감싸고 아래로 곧게 드리워진 소맷자락과 둥글게 마무리된 하단 자락 그리고 그 아래의 상의(裳衣 : 치마) 자락 등, 전체적인 착의법(着衣法)은 통일신라 후기 전통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체에 비해 상당히 크게 표현된 양손은 오른손을 위로, 왼손을 아래로 하여 복부 중앙에 모아 설법인(說法印)의 수인을 맺었다.

광배 역시 마멸로 세부 특징이 불분명하지만 당초문(唐草文 : 덩굴무늬) 형태로 휘감겨 올라가는 역동적인 불꽃무늬가 뚜렷이 남아 있다.

일부 매몰된 별석(別石)의 대좌는 서로 맞붙은 이중의 연화좌로 추정된다. 불상의 뒷면은 마치 암벽에서 떼어낸 듯 평면적이며 곳곳에 끌 자국이 선명하다.

역동적인 불꽃무늬가 새겨진 광배 형식, 한 돌로 조각된 불신과 광배, 우드야나식(udy{{%120}}na式)의 착의법, 복부에 모아 맺은 특징적인 설법인의 수인, 불신 하단에 난 촉을 통해 대좌와 결합한 수법 등은 남원 지역의 고려시대 석불(龍潭寺址 · 彌勒庵 · 迦德寺 · 龍珠庵 석불입상 등)에 흔히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조각 양식은 고려시대 남원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일군(一群)의 조각가 집단에 의한 지방 양식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전북문화재대관(全北文化財大觀) -도지정편(상)-』(전라북도, 199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곽동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