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은창의록 ()

목차
근대사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권종해가 권인규와 민용호의 의병활동을 기록한 의병록. 창의록.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권종해가 권인규와 민용호의 의병활동을 기록한 의병록. 창의록.
내용

1책. 목활자본. 권인규(權仁奎)가 예안통문(禮安通文)에 대답한 글과 의병장 민용호(閔龍鎬)에게 보낸 글 등 모두 8통의 창의(倡義) 관계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두에 답예안창의통문(答禮安倡義通文) 1편과 권말에 서고문(誓告文) 1편, 그리고 그 사이에 창의문과 서한 등 6통이 실려 있다. 권두에 실린 <답예안창의통문>은 1895년(고종 32) 12월 국수보복(國讐報復)의 궐기문에 답한 글이다.

전기 의병[을미의병] 당시에 발문(發文)한 6통의 창의문 중 <창의포고문>은 1896년 영남·영서·영동지방 뿐 아니라 각지에서도 거병할 것을 종용하기 위해 띄운 글이다. <여의병장민용호서 與義兵將閔龍鎬書>는 1896년 정월 영동구군도창의소(嶺東九郡都倡義所)를 설치하고 관동지방에서 의병항쟁의 기세를 드높이던 의병장 민용호에게 보낸 격려문이다.

<창의통문>은 1896년 초 관서·관북지방에서의 거병을 촉구해 보낸 글이다. <여유진장이병채 與留陣將李秉埰>는 1896년 2월 이병채의 의병진이 실패하였다는 기별을 듣고 격려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관동창의소포유문 關東倡義所布諭文>은 의병장 민용호 등이 심경을 피력해 관동지방의 선비와 대소 인민에게 포유한 글이다. <관동창의사효유문 關東倡義士曉諭文>은 경군(京軍)과 각 항구의 통상관(通商館)에서 일본군에 붙어서 생활하는 자를 타일러 깨우치고자 한 글이다.

권인규는 을미의병 때 의병 봉기에 앞장섰을 뿐 아니라, 아들 종해도 을사의병 이래 활약하다가 패하였다. 변명·변장으로 겨우 화를 면했는데 종해의 어머니와 장자 기수(基洙), 차남 증수(曾洙) 역시 구사일생으로 화를 모면하였다. 한말의병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권종해의 손자인 영일이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獨立運動史資料集)』(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집필자
이구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