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암집초 ()

목차
근대사
문헌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노응규의 창의소 · 지부자현소 · 의소 등의 상소문을 모아 엮은 의병록. 상소문.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노응규의 창의소 · 지부자현소 · 의소 등의 상소문을 모아 엮은 의병록. 상소문.
내용

필사본. 내용은 창의소(倡義疏) 1편, 지부자현소(持斧自見疏) 1편, 의소(擬疏) 2편이 실려 있다.

<창의소>에는 1895년 8월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와 그해 10월 단발령이 실시되자 다음해 1월 고향 안의(安義 : 지금의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동향인 서재기(徐再起)·정도현(鄭道鉉)·박준필(朴準弼) 등과 더불어 기의(起義)하여 진주성에 잠입하고 매국노 관리를 처형하는 등의 의병항쟁을 벌이던 의병장 노응규가 군왕(君王)에게 상소한 글이다.

이 소장(疏狀)에서 그는 창의가 불가피함을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이어 춘추필법(春秋筆法)에 의하여 임금을 위하여 새로운 결의로 난국타개의 소신을 피력하였다.

다음 <지부자현소>는 진주창의(晉州倡義) 이후 상경한 노응규가 1897년 10월 판서 신기선(申箕善)의 주선과 조병식(趙秉式)의 입품(入稟)으로 자신이 직접 도끼를 등에 지고 궐내에 들어가 상소를 한 것이다.

그 내용은 옛날 한나라의 관동(關東)과 당나라의 하북(河北)에서 의사(義士)들이 일어나 동탁(董卓)과 안녹산(安祿山)을 무찌르던 예를 들어 조국의 운명을 개탄하였는데, 위의 <창의소>가 고종에게 상달되지 못한 반면 <지부자현소>는 고종으로부터 비답을 받기에 이른 글이다.

나머지 2편의 의소는 지부소(持斧疏)와 같은 시기에 지은 초고본 의소 1편과 소 1편으로 그 내용은 그가 국모시해사건 이래 분함을 씻을 것을 맹세하고 또 군왕에게 무비증강(武備增强)을 피눈물로 호소한 글들이다. 이 책은 의병장 노응규의 연구자료는 물론 한말의병연구에 있어서도 값진 자료이다. 원본은 노응규의 족손 재일이 소장하고 있다.

집필자
이구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