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전라도의 계수관(界首官)인 나주목(羅州牧) 관내에 위치한 30개의 역을 관할하는 역로망이다.
『고려사』 권82 병지2 참역(站驛)에, “승라주도(昇羅州道)는 30개의 역을 관할하는데, 청엄(靑嚴)[전라남도 나주시], 선엄(仙嚴) · 경양(敬陽)[광주(光州, 광주광역시)], 덕기(德奇)[담양(潭陽, 전라남도 담양군)], 경신(慶新) · 청연(淸淵) · 용계(龍溪)[무안(務安, 전라남도 무안군)], 광리(廣里)[남평(南平, 전라남도 나주시)], 인물(仁物)[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군)], 영신(永新)[진원(珍原, 전라남도 장성군)], 오림(烏林)[철야(鐵冶, 전라남도 나주시)], 가림(嘉林)[화순(和順, 전라남도 화순군)], 녹사(綠沙)[영광(靈光, 전라남도 영광군)], 단엄(丹嚴)[장성(長成, 전라남도 장성군)], 청송(靑松)[무송(茂松,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가풍(街豐)[함풍(咸豐, 전라남도 함평군)], 덕수(德樹)[모평(牟平, 전라남도 함평군)], 영보(永保)[영암(靈嵓, 전라남도 영암군)], 통곡(通谷)[도강(道康, 전라남도 강진군)], 녹산(淥山)[해남(海南, 전라남도 해남군)], 벽산(碧山)[수녕(遂寧, 전라남도 장흥군)], 별진(別珍)[죽산(竹山, 전라남도 해남군)], 남리(南里)[황원(黃原, 전라남도 해남군)], 군지(軍知)[복성(福成, 전라남도 보성군)], 가신(嘉新)[보성(寶城, 전라남도 보성군)], 파청(波淸)[조양(兆陽, 전라남도 보성군)], 낙신(樂新)[낙안(樂安, 전라남도 순천시)], 익신(益新) · 섬거(蟾居)[광양(光陽, 전라남도 광양시)], 율양(栗陽)[승주(昇州, 전라남도 순천시)]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시대 역도 명칭에 고을 명칭이 붙는 경우의 대부분은 상주도(尙州道) · 명주도(溟洲道)와 같이 주요한 고을 명칭 한 개만을 붙이고, 역도의 분포망 또한 해당 고을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하지만 이와 달리 고을 명칭 두 개가 결합한 역도 명칭은 3개가 확인되는데, 그 중 하나가 승라주도이다. 승라주도는 승주와 나주의 고을 명칭을 붙여 만든 역도 명칭이다.
물론 승평군(昇平郡)도 계수관인 나주목 관내의 주군(主郡) 중 한 곳이지만, 승라주도에 승평군 관내의 역이 3개만이 분포하는 것을 보면 승라주도에서 승평군의 역 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따라서 역도 명칭을 승라주도라 한 이유는 전라도 동쪽 끝의 승평군 방면으로 역로망이 이르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승라주도는 우선적으로 나주를 중심에 두고 인근의 해양현(海陽縣=光州) · 영광군 · 능성현 방면으로 향하였다. 이 중 북쪽의 단엄역이나 청송역에서는 전공주도(全公州道)의 역로망과, 덕기역에서는 남원도(南原道)의 역로망과 각각 접속하여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방면으로 연결되었다. 이외의 주요 역로망으로 나주에서 영암 · 해남 · 강진 방면으로 향하는 역로망과 나주 동쪽 방면의 능성현에서 보성 · 순천 방면으로 향하는 역로망 그리고 이들 두 방면의 역 시설을 잇는 역로망 등이 있다. 승라주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한 율양역에서 남원도의 역로에, 섬거역에서는 섬진강을 건너 산남도(山南道)의 역로에 각각 연결되었다.
고려시대 승라주도는 역의 분포 양상 등을 고려할 때에 나주도(羅州道)라 해도 별 손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역도 명칭을 ‘승라주도’로 정한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승라주도의 관할 영역 안에 해륙교통운송 거점인 조창(漕倉)이 해룡창(海龍倉, 승주) · 장흥창(長興倉, 영암) · 해릉창(海陵倉, 나주) · 부용창(芙蓉倉, 영광) 네 곳이나 분포하면서 연해 항로의 험조처(險阻處)로 ‘명량항(鳴梁項)’이 위치하였기 때문에 지역의 교통운수활동에서 승라주도의 활용도는 매우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