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사진 (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 국가에서 거행하던 제사의 대상인 사방의 산악. 네 곳의 군사적 요충지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주례(周禮)』의 주에 사진을 산 가운데 중대한 것이라 풀이했고, 중국역대왕조의 사전(祀典)에 사진이 사방의 산악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따르기 어렵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 국가에서 거행하던 제사의 대상인 사방의 산악. 네 곳의 군사적 요충지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주례(周禮)』의 주에 사진을 산 가운데 중대한 것이라 풀이했고, 중국역대왕조의 사전(祀典)에 사진이 사방의 산악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따르기 어렵다.
내용

신라는 일찍부터 산악을 신성시해 국가적 차원에서 제사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그런데 삼국통일 이후 상당수의 명산대천을 새로운 영토로 편입하게 되었다.

이에 영토 확인, 민심 수습, 국가통치권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국가제사의 대상을 전국의 명산대천으로 확대 재조정해야 하고, 나아가서 신기(神祇)체계와 국가제사제도를 재정비해야 하였다.

이에 당나라의 제도를 수용해 명산대천을 중심으로 한 국가제사를 대사(大祀)·중사(中祀)·소사(小祀)로 등급화하였다. 또한 국토 사변의 산악을 사진으로 지정해 중사의 대상으로 삼았는데, 동진(東鎭)은 아곡정(牙谷亭 : 지금의 蔚山으로 추정됨)의 온매근(溫沬懃), 남진은 추화군(推火郡 : 지금의 密陽)의 해치야리(海耻也里, 일명 悉帝), 서진은 마시산군(馬尸山郡 : 지금의 德山)의 가야갑악(加耶岬岳), 북진은 비열홀주(比列忽州 : 지금의 安邊)의 웅곡악(熊谷岳)이었다.

신라에서는 산에는 산신이 있고, 산신이 풍우를 조절하고 국토를 수호한다고 믿었다. 그것을 미루어 볼 때, 사진에 대한 제사는 곧 사진의 산신에 대한 제사였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서진 가야갑악이라고 추측되는 가야산(伽耶山)이 덕산현의 서쪽 41리에, 가야갑악을 제사하던 가야갑사(伽耶岬祠)가 덕산현의 서쪽 3리에 있었다고 하였다. 그런데 양자의 거리로 미루어 사진에 대한 의례는 제사대상을 멀리서 바라보고 제사하는 망사(望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삼국사기연구』(신형식, 일조각, 1981)
「신라 대사(大祀)·중사(中祀)·소사(小祀)의 제장(祭場)연구」(최광식, 『역사민속학』 4, 1994)
「新羅の祀典と名山大川の祭祀」(浜田耕策, 『泡沫集』 4, 1984)
집필자
서영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