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경암 석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남원 심경암 석불좌상 정면
남원 심경암 석불좌상 정면
조각
유물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신촌동 적조암(寂照庵 : 전의 심경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신촌동 적조암(寂照庵 : 전의 심경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내용

불상 높이 1.17m, 광배 높이 1.85m. 1974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전형적인 우견편단(右肩偏袒 : 오른쪽 어깨가 드러남)의 촉지인(觸地印 : 왼손은 주먹을 쥐고 배꼽 부근에 대고 오른손은 손가락을 펴고 손바닥을 안으로 하여 땅으로 드리우는 손 모양) 여래좌상이다.

불신과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한 몸이지만 불상이 원각상에 가까울 정도의 고부조(高浮彫 : 높은 돋을새김)여서 마치 다른 돌로 조각된 것처럼 보인다.

머리는 민머리에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큼직하고 계란형의 둥근 얼굴은 마멸되어 세부 특징이 불분명하다. 귀는 짧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신체는 볼륨이 약화되어 위축되었다. 그리고 가느다란 팔과 짧은 허리 등 전체적으로 불합리한 신체 비례를 나타낸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우견 편단이다. 층단식의 옷주름은 복부에서는 타원형으로, 다리에서는 평행을 이루며 무릎까지 흘러내렸다. 특히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 자락은 왼쪽 어깨에서 크게 반전하여 삼각형의 주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옷주름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일반화된 형식이다. 왼손은 가부좌(跏趺坐)한 무릎 위에 가만히 올려놓았고, 오른손은 무릎 밑으로 곧게 내려 촉지인을 맺었다. 불신에 비해 과대한 광배는 가운데가 잘록한 주형(舟形) 광배로, 굵은 양각선으로 머리 광배와 몸 광배를 표현하였다.

머리 광배 내부는 간엽(間葉 : 사이 잎)을 갖춘 단판(單瓣 : 홑잎)의 8엽 연꽃잎을 돋을새김하였다.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가 돌려진 연꽃잎은 고려 초기 충청도 지방에 흔히 나타나는 형식이다. 몸 광배 내부에도 두툼한 꽃무늬를 장식하였으나 마멸로 불분명하다.

머리 광배와 몸 광배 바깥에는 단순화된 불꽃무늬를 새겼으며 상부 중앙과 좌우에 각각 화불(化佛) 1구씩이 배치되어 있다. 이 석불의 특징인, 계란형의 얼굴 형태, 우견 편단의 착의(着衣)와 촉지인의 수인, 원각상에 가까운 고부조의 조각 기법, 몸 광배 내부에 두툼한 꽃무늬가 새겨진 광배 의장(意匠) 등은 인근에 있는 덕음암(德陰庵) 석조약사여래좌상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대좌는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과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의 상 · 하대석과 팔각의 중대석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삼단 대좌이다. 특히 상대석의 앙련은 세 겹의 중판(重瓣) 복엽(複葉 : 겹잎) 연화좌이다.

꽃잎 내부에 다시 복잡한 꽃무늬가 새겨진 화려한 연꽃 형식은 동화사 석조비로자나석불좌상(863년 무렵)과 같은 통일신라 후기의 조각 전통을 따른 것이다. 하단의 팔각 지대석에는 각각 1구씩의 안상(眼象) 무늬를 새겼다.

참고문헌

『전북문화재대관(全北文化財大觀) -도지정편-』(전라북도, 199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곽동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