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봉산 심복사 (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 용봉산(龍鳳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 용봉산(龍鳳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
내용

일제강점기 31본산이 지정된 때에는 전등사(傳燈寺)의 말사였다. 651년(진덕여왕 5)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으며, 자장은 절터의 동쪽에 태양봉(太陽峰)과 경성대(景星臺)가, 남쪽에 삼성봉(三聖峰)과 영주대(迎主臺)가, 서쪽에 서왕곡(西往谷)이, 북쪽에 용봉치(龍鳳峙)가 둘러싸고 있는 것을 살핀 뒤 심장의 위치에 해당되는 곳에 절을 짓고 심복사라 하였다.

그 뒤 폐허가 된 것을 1219년(고종 6)에 천희(天熙)가 중창하였다. 중국에서 온 천희에게 고종은 명산에 대찰을 지을 것을 권하였는데, 천희는 이곳에 이르러 자장이 창건했던 절터에 가람을 세우라는 노인의 현몽을 얻고, 다음날 높은 곳에 올라가서 보니 상서로운 기운이 가득하였으므로 옛터에 절을 중창하였다. 고종은 노비 약간 명과 전답 250여 결을 하사하였다.

그 뒤 1396년(태조 5)에 무학대사(無學大師)가 화성에서 이 절로 와서 대웅전·응진전(應眞殿)·명부전·영자전(影字殿)·좌우선승당(左右禪僧堂)·동서별실(東西別室)·만세루(萬歲樓)·종루(鐘樓) 등을 신축하였으며, 대웅전 앞에 10층의 다보탑(多寶塔)을 건립하였다. 태조는 중창 소식을 듣고 향촉과 전답 200결을 하사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1,000여 칸에 달하던 당우들이 모두 소실되었다.

1644년(인조 22)에 인감(印鑑)과 일원(日元)이 법당과 승당을 중건하였고, 1649년에는 이이(頤怡)·인준(印俊)·현오(玄悟)·태희(太熙) 등이 좌우선당과 동서별실·누각·불전·요사채 등을 중건하였다. 1681년(숙종 7)에는 창건 및 중창주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사적비를 세웠고, 1684년에는 무학대사가 세웠던 다보탑을 중수하였다.

그 뒤 1932년에 주지 임태화(林泰化)가 동서에 요사채 16칸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절의 주위가 경승지일 뿐 아니라 풍수 지리학상 명당에 해당하는 곳이어서, 고려 이후의 명문 묘소 또한 많은 곳이다.

참고문헌

『전등사본말사지(傳燈寺本末寺誌)』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집필자
장충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