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03㎝, 가로 68㎝. 아미타불 좌·우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시립한 내영도 형식의 아미타삼존도이다. 아미타불과 관음보살은 측면상이나 대세지보살은 정면상으로 변화를 주었다.
연꽃을 밟고 선 삼존의 두광(頭光: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은 투명한 광배(光背: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이다. 이러한 투시 기법은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의 관음보살이 걸친 투명한 사라의 표현에서 기법상의 우수한 경지를 엿볼 수 있다.
아미타불의 얼굴은 장방형으로, 눈이 올라간 근엄한 표정이다. 이마의 양쪽 끝이 치켜 올라간 머리 모양은 두 산에 한 산을 겹친 삼산형(三山形)이다. 가운데 금니(金泥)로 윤곽선을 두른 반원형의 붉은 중앙 계주(中央髻珠)가 장식되어 있다. 오른손은 내려 엄지와 장지를 맞대고 왼손은 가슴에 들어 올려 엄지와 장지를 맞댄 손 모양으로 양 손에는 법륜을 그렸다.
건장한 가슴에 금니로 만(卍)자가 새겨졌다. 그리고 배를 내밀고 서 있는 당당한 신체에 걸쳐진 붉은색 가사에 금니(金泥)의 보상화문원문이 아름답게 그려져 있으며, 오른쪽 팔에 걸친 녹색의 대의, 구불구불한 군의(裙衣) 자락의 표현은 송대의 불화와 통하는 점이 아미타불은 비만한 장부의 모습이나 두 협시보살은 풍만한 얼굴에 늘씬한 자태이다.
화불(化佛)이 모셔진 보관(寶冠)을 쓴 관음보살의 긴 머리카락이 갈래져 두 어깨를 덮고 있으며 두 손을 교차하여 정병(淨甁)을 잡았다. 두 어깨를 덮은 불투명한 백의(白衣)와 분홍색 상의(裳衣: 치마)를 장식한 금니(金泥)의 둥근 보상화문 및 영락(瓔珞: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이 화려하다.
보관에 정병을 그린 대세지보살은 경함(經函)을 얹은 연꽃가지를 들고 있다. 어깨를 덮은 녹색 천의(天衣: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 밑으로,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를 지나 가슴 앞에서 묶은 띠는 고려시대 보살상의 일반적인 착의법(着衣法)이다. 허리끈이 매듭지어져 두 다리 사이로 흘러내리고 있다. 자세와 천의에서 구별되는 두 보살상과 아미타불의 삼존이 화면을 채우고 있다.
어두운 갈색 바탕에 적색과 녹색 위주로, 흰색, 분홍색, 청색의 화사한 채색 위로 덧 그려진 금니가 화려함을 더하고 있다. 정신적인 내면 세계가 표출된 얼굴 표정, 풍만하며 늘씬한 체구, 화려한 영락과 문양이 고려 불화 특유의 고귀한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