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타삼존도 ()

목차
회화
작품
일본 교토[京都] 치온지[知恩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화. 14세기 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본 교토[京都] 치온지[知恩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화. 14세기 작.
내용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03㎝, 가로 68㎝. 아미타불 좌·우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시립한 내영도 형식의 아미타삼존도이다. 아미타불과 관음보살은 측면상이나 대세지보살은 정면상으로 변화를 주었다.

연꽃을 밟고 선 삼존의 두광(頭光: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은 투명한 광배(光背: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이다. 이러한 투시 기법은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의 관음보살이 걸친 투명한 사라의 표현에서 기법상의 우수한 경지를 엿볼 수 있다.

아미타불의 얼굴은 장방형으로, 눈이 올라간 근엄한 표정이다. 이마의 양쪽 끝이 치켜 올라간 머리 모양은 두 산에 한 산을 겹친 삼산형(三山形)이다. 가운데 금니(金泥)로 윤곽선을 두른 반원형의 붉은 중앙 계주(中央髻珠)가 장식되어 있다. 오른손은 내려 엄지와 장지를 맞대고 왼손은 가슴에 들어 올려 엄지와 장지를 맞댄 손 모양으로 양 손에는 법륜을 그렸다.

건장한 가슴에 금니로 만(卍)자가 새겨졌다. 그리고 배를 내밀고 서 있는 당당한 신체에 걸쳐진 붉은색 가사에 금니(金泥)의 보상화문원문이 아름답게 그려져 있으며, 오른쪽 팔에 걸친 녹색의 대의, 구불구불한 군의(裙衣) 자락의 표현은 송대의 불화와 통하는 점이 아미타불은 비만한 장부의 모습이나 두 협시보살은 풍만한 얼굴에 늘씬한 자태이다.

화불(化佛)이 모셔진 보관(寶冠)을 쓴 관음보살의 긴 머리카락이 갈래져 두 어깨를 덮고 있으며 두 손을 교차하여 정병(淨甁)을 잡았다. 두 어깨를 덮은 불투명한 백의(白衣)와 분홍색 상의(裳衣: 치마)를 장식한 금니(金泥)의 둥근 보상화문 및 영락(瓔珞: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이 화려하다.

보관에 정병을 그린 대세지보살은 경함(經函)을 얹은 연꽃가지를 들고 있다. 어깨를 덮은 녹색 천의(天衣: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 밑으로,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를 지나 가슴 앞에서 묶은 띠는 고려시대 보살상의 일반적인 착의법(着衣法)이다. 허리끈이 매듭지어져 두 다리 사이로 흘러내리고 있다. 자세와 천의에서 구별되는 두 보살상과 아미타불의 삼존이 화면을 채우고 있다.

어두운 갈색 바탕에 적색과 녹색 위주로, 흰색, 분홍색, 청색의 화사한 채색 위로 덧 그려진 금니가 화려함을 더하고 있다. 정신적인 내면 세계가 표출된 얼굴 표정, 풍만하며 늘씬한 체구, 화려한 영락과 문양이 고려 불화 특유의 고귀한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09)
『고려시대의 불화』(기쿠다케 준이치(菊竹淳一), 정우택, 시공사, 1996)
『고려, 영원한 미』-고려불화특별전-(삼성미술문화재단, 1993)
『高麗佛畵』(문명대, 悅話堂,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